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데이트 폭력피해의 위험요인 및 관계지속요인

이용수 4784

영문명
The Variables Related to Risk Factor For Victims and to Maintenance of Violent Dating Relationships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강효진(Hyo-Jin Kang) 박기환(Kee-Hwa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9권 제3호, 27~54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데이트 폭력의 피해 발생률 및 심각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데이트 폭력 피해자들은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폭력적인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 폭력피해 여성의 독특한 성격 특성 및 위험요인이 있는지 파악하고, 폭력적인 관계를 더 오랫동안 지속하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고자 한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가정 환경적 변인(부ㆍ모 간 폭력 목격, 부ㆍ모가 나에게 폭력)과 관계 역동적 변인(투자, 관계만족도, 대안)에 중점을 둘 뿐 상대적으로 개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 폭력에 있어서의 개인차도 함께 고려하기 위해 개인내적 변인(중독성, 의존성, 자기효능감)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의 위험요인을 예측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한 결과, 모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당할수록, 대안이 많을수록, 투자가 높을수록, 관계만족도가 낮을수록, 중독성이 높을수록, 폭력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인관계 중독성이 폭력 유무를 가장 잘 예측해주었다. 즉, 중독성이 높은 여성이 낮은 여성보다 데이트 폭력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5배나 높았다. 둘째, 폭력적인 관계를 지속하게 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 환경적 변인과 관계 역동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의존성이 폭력적인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데이트 폭력피해의 위험요인은 중독성으로 나타났으며 폭력적인 관계지속요인은 의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가 주는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damage incidence and seriousness of violent dating relationship are becoming the main issue of society. Although victims are suffering for it, there are not determined to leave the violent dating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 for victims and the mechanism to maintain the violent dating relationship. Previous study focused on the domestic violence variables(women who witness fathers battering their mothers and mothers battering their fathers and women who beat by their parents) and relationship dynamic variables(investment model, i.e. relationship satisfaction, investment, alternatives) tha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Therefore this study was considered with the domestic violence variables, relationship dynamic variables and individual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 of risk factor for dating violence, (1) the more alternatives are, (2) the more investments are, (3) the lower relationship satisfactions are, (4) the higher interpersonal addictions are and (5) the more experienced violence from the mother are, the more the likelihood of dating violence victims is increased. Particularly, the likelihood of victims is five times higher women who are the higher interpersonal addiction than women who are the lower interpersonal addiction. 2.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 of variables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ir violent relationship, dependence were found as prediction to maintain the violent relationship.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discrimina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proposes the limit of this research and following study direction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과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효진(Hyo-Jin Kang),박기환(Kee-Hwan Park). (2013).데이트 폭력피해의 위험요인 및 관계지속요인. 한국범죄심리연구, 9 (3), 27-54

MLA

강효진(Hyo-Jin Kang),박기환(Kee-Hwan Park). "데이트 폭력피해의 위험요인 및 관계지속요인." 한국범죄심리연구, 9.3(2013):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