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의 역사인식 문제

이용수 1272

영문명
An Issue of Historic Consciousness in Germany -Focusing on Evaluation of the Weimar republic System and the Nazism-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최선아(Sun-Ah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27권, 237~26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일은 ‘지각한 민족 국가’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유럽에서 뒤늦은 통일을 이루었다. 따라서 근현대 시기에 사회 변동을 경험하면서 독일 내부에서는 ‘민족’개념을 강화하는 것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소위 “프로이센 학파”로 불린 역사학자들이 19세기 중반 이러한 독일의 ‘민족주의 사관’을 정립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비스마르크의 통일 전쟁, 1871년의 소독일 중심의 독일 국가 건립 과정 등으로 이어지는 프로이센 중심의 민족 국가 형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관점은 ‘정치사 중심의 역사주의'라는 방법론으로 독일 내에서 지배적인 담론을 이루었다. 그런데 2차 대전 후 독일의 역사 인식은, 독일사의 전체적인 맥락에 대한 비판적인 대면을 부정하고 나치 체제를 독일 민족사 내의 ‘돌발적 사건’으로 해석하려는 관점이 제기되었다. 즉 전쟁 직후 독일 역사가들은 나치 체제와의 직접적인 대면과 그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거부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독일 외부의 역사 인식과 대조적인 현상이었다. 근현대사에 대한 역사 인식의 문제는 현재의 역사 과정에 대한 시점과 관련이 깊다. 특히 독일 근현대사는 양차 대전과 바이마르 의회 민주 체제, 나치와 홀로코스트, 전범(戰犯)에 대한 처벌 문제 등 각 쟁점들이 역사적인 문제인 동시에 현실적인 정치적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대전 종전 후 수립된 바이마르 의회 민주정의 붕괴와 나치 문제를 중심으로 독일 근현대사의 흐름을 조망하는 것은 독일 역사학계의 역사 인식 문제를 알아볼 수 있는 한 방편이다. 이 글에서는 독일 역사에 대한 인식 변화를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와 보수 혁명 담론, 나치 체제와 홀로코스트 문제에 대한 관점의 변화 등으로 학문 내적인 논의의 전개와 독일 사회의 ’기억문화‘ 사이의 상호 작용에 주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Germany achieved the belated unification in Europe enough to be evaluated to be called ‘tardy national state.’ Accordingly, as a social change was experienc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re was movement of trying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n the inside of Germany with strengthening a concept of ‘nation.' Historians in the so-called “Prussian sect” can be said to have established this ‘nationalistic historical view’ in Germany in the mid-19th century. These people emphasized the formation of a nation state with the center on Prussian, which is led to Bismarck's Unification War and to the process of building German nation of focusing on small Germany in 1871. This perspective formed a dominant discourse within Germany as methodology dubbed ‘historicism of focusing on political history.’ By the way, following World War II, Germany's historic consciousness was raised the perspective of trying to deny critical confrontation on the whole context of German history and to analyze the Nazism as ‘accidental case’ within Germany's national history. In other words, German historians rightly after the war denied direct confrontation with the Nazism and the critical evaluation on it. This was the contrasting phenomenon against historic consciousness outside Germany. An issue of historic consciousness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deep relationship with the point of time on the current historical process. Especially, in Germany'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ach of issues such as two world wars & Weimar parliamentary democratic system, the Nazis & the Holocaust, and issue of punishment on a war criminal can be said to be realistic political issue simultaneously with historical issue. Accordingly, illuminating a flow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German focusing on the issue of the Nazis including the collapse of Weimar parliamentary democracy, which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end of World War I, is one means available for examining the issue of historic consciousness in Germany's historic academic circles. This writing aims to pay attention to interaction between the development in the internal discussion in learning and the ‘memory culture’ in German society, with a change in perspective on a discourse of the Weimar republic system and the conservative revolution, and on the issue of the Nazism and Holocaust, as for a change in German's historic consciousnes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바이마르 공화국과 보수 혁명 담론
3. 나치체제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평가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아(Sun-Ah Choi). (2013).독일의 역사인식 문제. 한국사학사학보, 27 , 237-261

MLA

최선아(Sun-Ah Choi). "독일의 역사인식 문제." 한국사학사학보, 27.(2013): 237-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