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내용 분석

이용수 567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n Perspective Representation in Modern Primary School Art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박소영(Soyoung Par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6券 3號, 175~20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근대시기 일본과 한국에 도입된 서양화법의 영향이 어떻게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반영되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투시도법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르네상스기의 화가와 조각가들에 의해 연구된 투시도법은 근대학교 제도의 기틀이 마련된 이후 편찬된 미술교과서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은 사물이나 자연풍경을 화폭에 옮기는 사생화 교육의 방법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보통학교도화첩』에서는 사생교육이 초등교육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이는 임화(臨畵)중심의 미술교육에서 벗어나 근대 미술교육으로의 전환을 가져다 주었다. 사생화의 소재로는 자연풍경이 가장 많았고, 건축물의 구조와 실내풍경도 다루고 있었다. 자연의 경치를 주된 소재로 다룬 뭉경화에서는 투시원근법 중 하나의 소실점을 갖는 1점 소실원근법이 가장 많이 도입되었다. 또한 정육면체와 직육면체 등의 입체기 하를 사생하는 제재에서도 선 원근법의 방법과 원리 등을 보여주는 내용이 많았다. 이렇듯 투시 도법은 우리 주변 세계의 공간을 지각하고 그것을 시각화 할 수 있는 공간지각능력에 있어서 긴요한 대상인 것이며, 미술작품에 표현된 공간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감상수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o elucidate the reflection of the effect of Western drawing techniques introduce into Japan and Korea in the modern era in contemporary primary school art textbook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se textbooks, with a focus on perspective representation. With its basis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by painters and sculptors during the Renaissance, perspective representation was introduced in earnest into art textbooks compiled following the consolidation of the framework of the modern school system. Perspective representation in "primary school" art textbooks was addressed the most as a means of teaching sketches, where surrounding objects or natural landscapes are depicted on the canvas. Normal School Drawing Book introduced sketch education in earnest into primary education, and this brought about a transition to modern art education from reproduction-centered art education. In addition, perspective representation was addressed the most in the areas of ideational paintings and sketches. In the case of sketches. the most frequent subject matters were natural landscapes, followed by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indoor scenes, in this order. As for landscape paintings, whose main objects are natural landscapes. one-point linear perspective, which is linear perspective with a single vanishing point, was introduced the most. In addition, in subject matters where one was to sketch spaces in solid geometry such as regular hexahedrons and rectangular parallelepipeds, there were many contents showing the methods and principles of linear perspective. For students, learning perspective can be seen as a method indispensable for the process of perceiving and visualizing the real world. Spatial intelligence in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s one of the human abilities that can be developed in the fine arts. In particular, perspective representation is an indispensable object of the ability to perceive and visualize space in the surrounding world. In addition, perspective representation operates as an important element for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space expressed in artworks in art appreciation classes as wel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근대 초등미술에서의 투시도법 교육의 배경
Ⅲ.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서의 투시도법내용
Ⅳ.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영(Soyoung Park). (2012).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내용 분석. 미술교육논총, 26 (3), 175-205

MLA

박소영(Soyoung Park).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내용 분석." 미술교육논총, 26.3(2012): 175-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