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 연구

이용수 534

영문명
A Study on Baekje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Iksan Mireuksaji Temple Sit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최윤숙(Choi, Yoon-Sook) 이동식(Lee , Dong-Sik)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5집 4권, 10~26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에 대한 고고•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주칠의 성분과 사용처와의 관련성을 살피고, 주칠 채색 유물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주칠이 채색된 수막새가 백제 미륵사에서 주로 사용된 이유를 검토함으로써 미륵사가 백제 말기 역사•문화상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폈다. 첫째, 미륵사에서는 주칠 채색 유물의 사용처와 기능, 중요도에 따라 주사(HgS, Cinnabar)나 석간주(Fe₂O₃, Hematite)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사리봉영기 등 특별한 공간에 안치할 유물이나 중요한 부분을 장엄하기 위한 것에는 주사를 사용하였고 수막새와 같이 다량으로 채색하거나 외부 공간을 장엄하고자 할 때는 석간주를 사용하였다. 둘째, 주칠이 채색된 ⅡA형(인동자엽형) 수막새와 ⅡB형(꽃술형) 수막새는 특별한 전각에 올리기 위해 미륵사에서만 디자인하고 제작한 수막새임을 알 수 있었다. 주칠 채색은 수막새의 뚜렷한 양감을 더욱 부각시키고, 영원한 생명, 재생, 벽사의 의미를 강조하여 장엄의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이 두 유형의 수막새는 639년(기해년)이라는 절대연대를 가지고 있는 서탑 아래 토층에서도 확인되어 서탑 축조 이전부터 미륵사 창건 건물에 사용한 수막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륵사에는 음양오행사상에 맞춰 단청을 하듯 붉고 푸른빛의 기와를 올려 사찰을 장엄하고 경관을 새롭게 조성하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백제 미륵사의 전각을 주칠 채색 수막새와 녹유연목와로 장엄한 이유는 미륵사가 무왕의 익산경영의 발판으로서 지어진 국가사찰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륵신앙을 중심으로 민심을 달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무왕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사찰이기 때문이다. 넷째,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유물에는 백제의 독특한 공예제작 기술뿐만 아니라 고구려의 주칠 수막새와 고분벽화 제작기술과 같은 문화요소가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주칠 채색 유물이 가지는 상징성과 함께 미륵사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익산에서 꽃피웠던 백제문화의 가치를 알리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미륵사지 출토 주칠 유물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이 이루어져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rough the Analysis of Natural Sciences and Archeology on Baekje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Iksan Mireuksaji,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ingredients and used place of Red Coloring and reveal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d Coloring relics. In particular, by reviewing the meaning and reason that Red Coloring Roof-end tiles were used in Mireuksa temple among Baekje temple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 cultural meaning of Mireuksa temple in the late Baekje. The results of this revie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innabar(HgS) or Hematite(Fe₂O₃) was selectively used in Mireuksa temple depending on the importance, features and used place of Red Coloring relics. Second, it could be seen that Red Coloring ⅡA type(Indongjayup type) Roof-end tiles and ⅡB type(Stamen type) Roof-end tiles are Roof-end tiles designed and made only in Mireuksa temple to put them on the special and meaningful temple buildings. The purpose of Red Coloring was to further highlight apparent three-dimensional effects of Roof-end tiles and increase the effect of promotion of dignity and decoration by emphasizing the meaning of Byeoksa(Actions to prevent disasters and overcome misfortune), regeneration, eternal life. In particular, these two types of Roof-end tiles were also found in soil stratum under the west stone pagoda with accurate year, 639(Gihae year) and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they are Roof-end tiles used in the buildings constructed when building Mireuksa temple first before constructing the west stone pagoda. Third, it could be seen that by putting red and blue Roof tiles like painting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people tried to promote the dignity and decorate Mireuksa temple and newly create the whole atmosphere of Mireuksa temple. The reason that Red Coloring Roof-end tiles and Nokyuyeonmokwa(rafter roof tiles glazed blue) were used to promote the dignity and decorate only the buildings of Mireuksa temple among Baekje temples is because Mireuksa temple is a national temple for King Mu to rule Iksan. In addition, it is because the temple where the ruling ideology of King Mu to settle the public sentiment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around Maitreya beliefs is reflected. Fourth, it was checked that cultural elements such as Baekje’s unique craft production technology as well as Koguryo’s Red Coloring Roof end tiles and wall painting of the Tomb production technology were reflected in Baekje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finding out the historical nature of Mireuksa temple together with Symbolism of Red Coloring relics but be used as materials to reveal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Baekje culture that bloomed in Iksan. We hope that comprehensive studies will be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Natural Sciences on Red Coloring relics excavated from Mireuksaji Tample Site.

목차

Abstract
Ⅰ. 머리말
Ⅱ. 고대 주칠 채색 유물 현황
Ⅲ.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 분석
Ⅳ.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숙(Choi, Yoon-Sook),이동식(Lee , Dong-Sik). (2012).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5 (4), 10-26

MLA

최윤숙(Choi, Yoon-Sook),이동식(Lee , Dong-Sik).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주칠 채색 유물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5.4(2012): 10-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