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처의 무기(無記)와 원효의 존재 이해

이용수 209

영문명
Buddha' s A vyākrta and Wonhyo' s Understanding Being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원명(Kim, Won Myoung)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17집, 145~17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식의 근원, 인간이해, 존재이해에 대한 물음은 철학의 영원하고 궁극적인 물음이다. 부처시대로부터 제기되어 전해진 근원적 물음에 대한 이해의 노력은 불교철학사 전체에서 늘 문제의 중심에 있었다. 이에 대한 불교에서의 논리학 인식론이랄 수 있는 인명학이 있는데, 이에 대한 현존 연구서는 한국역사에서 유일무이하게 원효의 『판비량론』 뿐이다. 그리고 그 필사본 일부가 1967년 일본에서 출간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들이 일본과 한국에서 진행되었고 최근에 김성철의 연구로 당시 동아시아학계에서의 원효의 수준과 위치 그리고 그의 중요성을 더욱 드러내게 되었다 그리고 김상일의 연구로 원효 『판비량론』 을 세계철학사에서 존재 물음에 대한 인간 의식의 최고발달 단계에 이른 연구로 평가하기에 이르렀다. 논자는 이런 원효 철학 발달의 바탕이 인명학의 불교사적 성과의 문제만이 아니라 는 점에 착안하였다. 그의 초기 저술에서 만년 에 이르기까지 저술 가운데 현존하는 중요 저술의 종체문과 대의문을 통해 저술 전체에 고루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논리와 존재 이해를 숙고하였다 『판비량론』 에 인명학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부정(不定)의 논리와 그의 다른 저술들에 나타나는 대승(大乘) 또는 일심(一心) 혹은 무장무애법계(無障無擬法界)라는 이름으로 나타나는 존재이해가 상관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글을 전개하였다. 이는 또 신라 내적으로 그리고 전통적으로 사회·문화·정신 발달이 불교를 만나 꽃을 피운 것으로 볼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보편성과 고유성이 상통하는 측면을 부각하는 글을 전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at revealing the meaning of Buddha's Avyākrta and Wonhyo's Understanding Being which is corresponded to Buddha's Understanding Being. Buddha's Avyākrta is related with Buddha's Understanding Being. Avyākrta is No response. It is a reference to the Buddha's silence in reply to metaphysical questions put to him by Malunkyaputta. Malunkyaputta put to the Buddha ten well-known classical questions on metaphysical problems and demanded answers. "Sir, when I was all alone meditating, this thought occurred to me: There are these problems unexplained, put aside and rejected by the Blessed One. Namely, (1) is the universe eternal or (2) is it not eternal, (3) is the universe finite or (4) is it infinite, (5) is soul the same as body or (6) is soul one thing and body another thing, (7) does the Tathagata exist after death, or (8) does he not exist after death, or (9) does he both (at the same time) exist after death, or (10) does he both (at the same time) not exist and not not-exist. These problems the Blessed One does not explain to me. This (attitude) does not please me, I do not appreciate it." The Buddha's reply to Malunkyaputta should do good to many millions in the world today who are wasting valuable time on such metaphysical questions and unnecessarily disturbing their peace of mind. Buddha said to Malunkyaputta like this : 'I will not lead the holy life under the Blessed One until I explain these questions such as whether the universe is eternal or not, etc., he may die with these questions unanswered by the Tathagata.' And he exampled 'a man wounded by the poisoned arrow.' Buddha said to Malunkyaputta that the man would die without knowing any of his questions. Then the Buddha explained to Malunkyaputta that the holy life did not depend on these views. Whatever opinion one may have about these problems, there is birth, old age, decay, death, sorrow, lamentation, pain, grief, distress, 'the Cessation of which (i.e. Nirvana) the Buddha declared in this very life.' Whether the universe is eternal or not, etc., (those 10 opinions) Buddha had not explained. Why Buddha had not explained them? Because it is not useful, it is not fundamentally connected with the spiritual holy life, is not conducive to aversion, detachment, cessation, tranquillity, deep penetration, full realization, Nirvana. That is why Buddha had not told his students about them. There is a paradox in this story. This extremely confused to think about. Buddha's advice has not prevented many Buddhists to come up with a myriad of stories, explanations, alterations, and ramifications of these questions on metaphysical problems. Panbiryangron(判比量論) is a book of debates and all the debates are based on Buddhistic logic. Wonhyo(元曉) criticized many syllogisirns that were designed by Hyunzang(玄奘). Moreover Wonhyo himself constructed several syllogisirns that seem to be free from logical fallacies. Wonhyo presented antinomie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finitions of wisdom of Buddha. And Wonhyo solved these antinomies with a couplet of Hwajaeng(Harmonization). Hwajaeng transcends the sphere of an ordinary logic. Being, understood by Wonhyo, consists of two aspects which are definable and indefinable at the same time. In the respect of the indefinable of Being, antinomy comes out. Wonhoy understood Being as the Great Vehicle(大乘), One mind(一心), No hindrance true world(無障無擬法界) in several his Buddhist works. Wonhoy's understanding Being was influenced by a current social religious cultural tradition in that society in some sense. Poongleudo(和白會議), Hwabaek Conference(風流道) etc. are examples of traditional elements which affects Wonhoy's understanding Being.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원효의 깨달음과 부처의 미소
3. 원효의 논리
4. 원효의 존재 이해
5. 원효 철학의 전통적 출생 배경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명(Kim, Won Myoung). (2008).부처의 무기(無記)와 원효의 존재 이해. 철학과 문화, 17 , 145-170

MLA

김원명(Kim, Won Myoung). "부처의 무기(無記)와 원효의 존재 이해." 철학과 문화, 17.(2008): 14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