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先秦道家 ‘无为’ 思想研究

이용수 17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윤지원(尹志源)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22집, 99~11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무위(無爲)’는 중국고대철학(中國古代哲學)의 중요한 철학범주(哲學範疇)이며 도가(道家)의 핵심범주 중 하나이다. 선진시기(先秦時期) 도가(道家), 유가(儒家), 형명법술가(刑名法術家) 등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무위(無爲)’를 이야기 하지 않은 학파는 없으며, 한대(漢代)에는 학자들의 연구뿐 아니라 현실에서의 실험도 이루어져 한초(漢初) 무위정치의 태평성대를 열었다. 무위개념(無爲槪念)은 자연관 정치관 인생관 등 모든 방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계승발전 되어 왔다. 선진도가(先秦道家)의 무위사상(無爲思想)은 세 가지의 발전방향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자연무위(自然無爲), 둘째는 소요무위(逍遙無爲), 셋째는 군도무위(君道無爲)이다. 도가무위(道家無爲) 이론은 인간의 의식적 행위를 추구하지 않는 것을 그 기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도가의 비조라 불리 우는 노자의 무위사상은 자연무위이며, 성인무위(聖人無爲)로서 적극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국후기(戰國後期) 이후 노자(老子)의 무위사상은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첫째는 장자(莊子)의 소요무위이고, 둘째는 장자후학(莊子後學) 황로학파(黃老學派)의 군도무위 사상이다. 장자는 암울한 사회 현실 속에서 자아를 실현(實現)할 방법을 찾았고 정신의 절대자유(絶對自由)를 추구하며 무위를 절대정신(絶對精神)의 자유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또 다른 발전방향은 군도무위 사상이다. 전국후기 도가사상은 절대적인 무위만을 강조하지 않으며 일정한 조건 속에서의 유위(有爲)를 이야기한다. 장자후학 황로학파는 노자의 무위사상을 계승 발전시켜 군주무위(君主無爲) 신하유의(臣下有爲)의 사상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无为’是中国古代的一种重要哲学范畴.先秦道、儒、治刑名术的学者无不讲它,汉代不仅学者讨论,还被施诸实践,造成了汉初‘无为’而治的盛世.它对后世的影响是极其深远的.‘无为’内涵十分丰富,包括自然观、政治观、人生观诸方面的内容.它是不断发展、不断丰富、不断完善的.先秦道家的‘无为’思想有主要三条思路:第一、自然无为,第二、逍遥无为,第三、君道无为.道家‘无为’理论,其基点在于强调人不应当刻意追求,甚至连想都不要想,而应当让一切都随顺自然.这在老子早期的理论中称为‘无以为’.老子后期的哲学思想适应了社会形势需要,于‘无为’理论中加上了积极进取的内容,提出了‘无为而无不为’的命题,将随顺自然的命题加以改变,变为随心所欲,无所不为. 在战国后期,老子的无为思想具有两个发展方向.一是、逍遥无为:庄子探求的是个人在沉重黑暗的社会中如何实现自我的方法,追求的是一种精神上的绝对自由.‘无为’就是实现这种自由的途径.‘无为’带有庄子个人式的超然和达观.庄子的‘无为’、‘精神’、‘自由’,时刻使知识分子舒展自己的性情,率性称情而行,从而使自我存在能够处于绝对自由的天地.另一个发展方向是,在战国后期,道家思想不再强调绝对的‘无为’,不再囿于‘无为’的范围,而是强调一定条件下的‘有为’,强调‘不得已’而有所作为.这是黄老道家学派的君道无为思想.

목차

[국문 요약]
1. 序言
2.‘无为’思想的萌芽
3. 老子的‘自然无为’
4. 庄子的‘逍遥无为’
5.‘君道无为’
6. 结语
[참고문헌]
[中文摘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원(尹志源). (2011).先秦道家 ‘无为’ 思想研究. 철학과 문화, 22 , 99-113

MLA

윤지원(尹志源). "先秦道家 ‘无为’ 思想研究." 철학과 문화, 22.(2011): 99-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