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이용수 531

영문명
A Reconsideration of Nāgārjuna’s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It’s Understanding through the Middle Wa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남수영(Nam, Soo-yo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2호, 129~190쪽, 전체 6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10,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논자는 본 논문에서 ①‘중론이 주장하는 연기는 상의성의 의미이며, 중론의 목적은 여러 법의 상의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라고 하는 나카무라 하지메(中村元)의 견해와 ②‘상의성의 연기와 팔불연기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③‘팔불은 동시적이고 상대적인 부정을 통해 양항을 다시 긍정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는 윤종갑의 견해, 그리고 ④‘팔불의 상반하는 둘을 하나로 묶음으로써, 그 둘 각각의 긍정을 함의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우에다 요시부미(上田義文)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용수의 상호의존적 연기와 팔불의 연기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월칭의 언급으로부터 12연기와 상호의존의 연기는 세속제(世俗諦)로서 동일 차원에서 설해진 것이고, 팔불의 연기는 승의제(勝義諦)로서 상호의존의 연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설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상호의존의 연기와 팔불의 연기, 즉 세속제와 승의제의 분기점은 무자성과 공성의 개념이 된다. 그런 사실로부터 나카무라 하지메의 견해 ①과 윤종갑의 견해 ②는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2) 상호의존의 연기란 두 개의 사물이나 혹은 여러 개의 사물이 서로 의존해서 성립함을 설하는 것이다. 용수가 상호의존의 연기를 설한 목적은 인도의 대부분의 학파들이 실재로 간주하는 궁극적인 원인을 포함하는 모든 사물이 연기에 의해서 성립함을 밝히고, 다시 그로부터 모든 사물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궁극적 진실인 승의제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3) 팔불의 연기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은 불생불멸 등의 여덟가지 특성을 지닌다는 의미이다. 팔불이 설해진 목적은 유자성론에 근거해서 설해지는 여러 학설들의 불합리를 비판하고,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4) 팔불의 각각은 동일한 형식으로 설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 불생’, ‘자성으로서 불멸’등으로 종결되며, 거기서 불생과 불멸 등 두 항목을 하나로 묶어서 다시 발생과 소멸 등을 긍정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들로부터 윤종갑의 견해 ③과 우에다 요시부미의 견해 ④는 올바르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5) 팔불은 시종일관 무자성의 개념에 근거해서 설해지고 있고, 그럴 경우 무자성은 비유비무(非有非無)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와 같은 사실로부터 팔불은 비유비무의 중도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의 생멸, 자성으로서의 거래, 자성으로서의 일이, 자성으로서의 단상 등 불합리하고 극단적인 견해들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팔불이 곧 중도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월칭이 『중송』의 목적으로 제시했던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정인 열반’에 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된다. 첫째, 세속제, 즉 상호의존의 연기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둘째, 승의제에 근거해서 팔불이 설해지고, 팔불을 통해서 유자성론에 뿌리를 둔 모든 희론들이 부정되는 동시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의 진실을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셋째, 그런 깨달음을 통해서 무명과 갈애가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고, 마침내 수행자는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writer raised questions to ①the opinion of Hajime Nakamura(中村元)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緣起) of Mūla-madhyamaka-kārikāh is the meaning of mutual dependence(相依性) and the purpose of Mūla-madhyamaka-karikah is to reveal the mutual dependence of things, ②the opinion of Jonggap Yun(윤종갑)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same wit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八不), ③which eight negations have the nature of affirming the both items through the coincidently and relatively negations, and ④the opinion of Yoshibumi Ueda(上田義文) which we can write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of the contrary two items of eight negations. So the present writer reconsider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n Mūla-madhyamaka-kārikāh, and confirmed as follow facts. 1)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welve element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re said in a same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unclear meaning scriptures, but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said in a different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clear meaning scriptures. So we could know that Hajime Nakamura’s opinion of ① and Jonggap Yun’s opinion of ② have no validity. 2)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a theory that two or several things, action and actor, pure and impure etc., come into existence in a state of mutual dependence.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the ai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of Nāgārjuna is to reveal the fact that all things are of no intrinsic nature(無自性), emptiness(空性), dependent designation(假名), and middle-way(中道), because they are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3)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a theory that all things as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have eight attributes of non-production(不生) non-extinction(不滅) etc.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has two aspects of the criticism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he truth of no int rin sic nature of all things. So we could know that the aim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are the negation of the irrational theories about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ruth of all things of no intrinsic nature. 4) When we examin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eight negations, we can se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come to a stop with no-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no-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but we could not find any case of writing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he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the contrary two items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So we can know that Jonggap Yun’s opinion of ③ and Yoshibumi Ueda’s opinion of ④ are not correct. 5) The eight negations are described by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from start to finish, and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used as meaning of non-being and non-not-being(非有非無).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eight negations must be comprehended by the middle way of no-being and no-not-being. Also becaus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are denials to the irrational and extreme opinions of 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and 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 eight negations are exactly the middle way. 6) The meaning of Candrakīrti’s mention which he presented as the purpose of Madhyamaka-śāstra, ‘nirvana with auspicious feature because all of the irrational theories completely stoped’, is as follows. The truth of no intrinsic nature of all things has become known throug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every irrational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is refuted by that truth.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세속의 연기와 팔불의 연기
Ⅲ. 상호의존적 연기의 내용과 목적
Ⅳ. 팔불연기의 내용과 목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수영(Nam, Soo-young). (2012).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불교학연구, (32), 129-190

MLA

남수영(Nam, Soo-young).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불교학연구, .32(2012): 129-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