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이용수 887

영문명
Adoption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an in sean-sects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호귀(Kim, Ho-gui)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2호, 51~8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성과 조사선의 형성이 문제는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조사선의 근본은 본래성불사상에 근거하여 그것을 일상의 생활에서 실천한다는 것이다. 그 본래성불사상의 사상적인 근거가 곧 불성이었다. 때문에 불성에 대한 수용과 그 터득은 조사선수행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불성은 초기선종 시대에는 달마의 어록으로부터 깨침과 열반 내지 해탈이라는 개념과 동일시되었다. 나아가서 『유마경』, 『화엄경』, 『열반경』, 『능가경』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조사선의 입장에서는 그 바탕에 일체중생은 본래 부처와 다름이 없는 존재라는 것을 悉有佛性에서 추구하였다. 곧 일체의 존재가 모두 불성이라는 것이므로 생사를 벗어나야 비로소 열반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본래성불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 중생으로 살아가는 것이므로 다양한 수행을 통하여 자성이 본래 진성임을 深信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 근거는 곧 생사와 열반의 동일성이다. 때문에 생사는 열반을 부정하지 않고 열반은 생사를 부정하지 않는다. 바로 이와 같은 내용은 『열반경』에서 말한 중도란 불이고 불성이며 대자대비이고 여래라는 말로부터 찾아볼 수가 있다. 이것이 『열반경』을 중시했던 선종에서는 보리달마 이래로 깨침과 불성의 근본적인 개념이었다. 나아가서 그 깨침은 무분별과 무집착으로서 반야의 청정과 평등이었다. 때문에 住는 일체범부의 속성으로서 집착이고, 무주는 제성인의 속성으로서 무집착으로 설정되었다. 무집착의 개념으로서 해탈은 수행의 과정에 있으면서 더불어 깨침으로서 불성이 현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이 달마로부터 혜능에 이르는 육대조사의 사상적인 근거로서 본래성불의 바탕이었음은 물론이다. 달마의 深信, 승찬의 信心, 도신의 守一不移, 홍인의 守本眞心, 혜능의 자성법문 등은 불성사상의 조사선적인 전개였다.

영문 초록

The role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have a deep relationship. The essence of Patriarch-seon is the original-enlightenment of Buddha-nature and daily-life of enlightenment, as it were, no-adherance, no-dispute, no-greed, no-anger, no-ignorance and so forth. The original-enlightenment of Buddha-nature is based on Mahayana sutras. We can examine the Buddhist-sutras of mahayana. For example, the Avatamsaka Sutra, the Great enlightenment-Sutra and the Prajnaparamita-Sutra, the Pundarika-sutra, the Langkavatra-sutra, and the Vimalakirti-sutra etc. In the first instance, the idea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of Mahaparinirvana-sutra was developed from the thoughts of Patriarch-seon for the formative period in early seon-sects. We should notice that the phrase,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all sentient beings are full of Dharma-kaya in the universe. Second, all sentient beings have equality with-out discrimination. Third,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like each other. And the means of Buddha-nature can be divided diversely. Namely, the Buddha-nature has enlightenment, emancipation and nirvana in the analects of Bodhi-dharma. We can see the means of diversity of patriarchs in the formative period in early seon-sects, the so called six patriarchs. For example, Hueike is seon-mind, the analects of Sengtsan are faith and mind, the analects of Taohsin keep the one mind, the analects of Hungjen keep the sincerity-mind, the analects of Hueineng are the original nature-mind, the words of Huairang are of the no contamination-mind, the analects of Matsu are from perfected-mind, and the analects of Paichang are manifested-truth. These are the tradition of enlightenment in seon-analects. These notions of diversity in early seon-sects about Buddha-nature were fundamental principles in Patriarch-seon.

목차

요약문
1. 서언
2. 열반과 불성의 관계
3. 조사선의 형성과 불성사상
4. 불성사상과 달마선의 수증관
5. 불성사상과 육대조사의 선풍
6.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귀(Kim, Ho-gui). (2012).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불교학연구, (32), 51-81

MLA

김호귀(Kim, Ho-gui).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불교학연구, .32(2012): 5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