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이용수 924

영문명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임승택(Lim, Seung-tae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2호, 83~12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돈점 문제를 다룬다. 깨달음이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에 이르게 해준다. 초기불교에서는 이것이 발현되는 양상에 관해 근기에 따른 차이를 인정한다. 정형화된 하나의 방식만을 고집하지 않으며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체험되는 깨달음의 사례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돈점을 둘러 싼 편 가르기 방식의 경직된 논쟁은 바람직하지 않다. 초기불교의 깨달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바로 그러한 다양성이야말로 오히려 본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아래 필자는 깨달음에 해당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살펴보았다. 깨달음 (bodhi), 완전한 지혜(aññā), 반야(paññā), 지혜(ñāṇa), 두루한 앎(pariññā)과 체험적 앎(sacchikiriyā), 뛰어난 앎(abhiññā), 밝은 앎(vijjā), 깨어있음(anubodha) 등이 그것이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궁극적인 완전한 깨달음을 지칭하며 다른 일부는 일상적인 차원에서 발현되는 인식의 전환을 묘사한다. 또한 필자는 초기불교를 대표할 만한 깨달음 사례로서 붓다가 밝힌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無上正等正覺, anuttara-sammā-saṁbodhi)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전법륜품에서는 이것을 사성제의 실현으로 풀이하며, 또한 고성제ㆍ집성제ㆍ멸성제ㆍ도성제에 이르는 점차적인 과정으로 묘사한다. 필자의 고찰에 따르면 고성제의 실현은 두루한 앎(pariññ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차원에 속하고, 집성제의 실현은 끊음(pahāna)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닦음의 차원에 배속된다. 또한 멸성제의 실현은 체험적 앎(sacchikiriy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영역에 속하고, 도성제의 실현은 그 자체로서 닦음(bhāvanā)의 영역에 해당한다. 필자는 이러한 사성제의 실현 과정이 확립된 절차로 나타나며, 더불어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것을 통해 필자는 사성제를 내용으로 하는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이란 점오이며, 반복되는 선오후수(先悟後修) 혹은 두 겹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구조를 취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필자는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은 한국불교만의 고유한 사정을 반영하며, 한국불교의 강인한 생명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이 건전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초기 불교 당시의 가르침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에서 핵심이 되는 질문은 “깨달음 이후 또 닦아야 하는가.”이다. 이것에 대해 보조지눌은 “몰록 깨달음을 얻고서 차례로 닦아 나간다.”라는 돈오점수를 내세웠고, “깨달음이 전제되지 않으면 참된 닦음이란 있을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지눌의 주장은 사성제를 실제 내용으로 하는 초기불교의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 사례에 형식적으로 일치한다.

영문 초록

How can we achieve enlightenment,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 this topic in Korean Buddhism. The first one is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other one is gradual enlightenment. These two opinions may be mistaken as being in contrast with each other. But based on Early Buddhist tex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re not contradictory. If we could acknowledge that the sudden enlightenment is not limited to a one-time event and is repeated again and again, we can call this series of enlightenments as gradual enlightenment. Through Early Buddhist texts, I discovered that Buddha’s enlightenment, anuttarasammasaṁodhi was a gradual enlightenment which was composed of the Four Noble Truths(cattari-ariyasaccani). I explained that the Four Noble Truths includes two rounds of enlightenments, one of which we can call pariñña and the other sacchikiriya. I confirmed that both of these could be regarded as kinds of enlightenment. Based on these facts, I concluded tha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do not oppose each other, and gradual enlightenment includes a number of sudden enlightenments in Early Buddhism. This study arrives at another important point that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the procedures of practice.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Four Noble Truths reveals this fact. The fir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All the other elements of Four Noble Truths follow this enlightenment.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nirodhagaminiya-paṭpada means to practice the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enlightenments.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similar to Chinul(知訥, 1158-1210)’s practice system, and also connected with his thought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In modern times, Chinul’s opinion was criticized by Sungchol(1912-1993) who claimed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nd subsequently, the followers of Chinul and the disciples of Sungchol have been arguing with each other. I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nciliation of this debate and to the increas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목차

요약문
Ⅰ. 시작하는 말
Ⅱ. 깨달음의 사전적 의미
Ⅲ. 깨달음의 돈(頓)과 점(漸)
Ⅳ. 깨달음의 다양한 양상들
Ⅴ. 사성제의 실천 순서와 돈점
Ⅵ. 마치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택(Lim, Seung-taek). (2012).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불교학연구, (32), 83-128

MLA

임승택(Lim, Seung-taek).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불교학연구, .32(2012): 8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