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의미구조 및 응집표지에 관한 연구

이용수 625

영문명
A study on the writing of text content structure and cohesion b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옥인(Lee, Oki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7권 제2호, 177~19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3,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텍스트 응집성과 결속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초등학교 19개교에 재학 중(1~6학년)인 쓰기 학습장애 학생 98명의 텍스트 389개(텍스트 분절문 2,239개)를 분석하였다. 텍스트 의미구조와 결속구조는 의미관계, 의미 전개과정 및 응집표지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분석된 대표 사례를 제시하였다. 텍스트 의미구조 분석기준은 Meyer(1985)에 기초한 박진용(2006)의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응집표지는 McCutchen와 Perfetti(1982)에 기초한 김희규, 강정숙(2005)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쓰기 학습장애 학생은 첫째, 대등적 의미관계를 종속적 의미관계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등적 의미관계 중에는 대등-수집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년 간 차이는 종속-이유관계에서 4학년과 6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종속-일반화 관계에서 1학년과 4학년, 1학년과 5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대등-인과관계에서 1학년과 6학년, 4학년과 6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른 유형은 학년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쓰기 학습장애 학생은 대등적 의미전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의미구조 깊이를 확장시키는 종속적 의미전개는 가장 적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응집표지는 접속, 어휘적 결속, 생략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시·대용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의미 전개과정과 응집표지는 학년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쓰기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의미구조 구성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으며, 보완된 과정중심 글쓰기 지도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xt contents structure and cohesion b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analyzed 389 texts(utterance 2,239) of 98 children(1~6 grade) from 19 elementary school. Text contents structure were examined on the semantic relation and process, represents the analyzed cased is presented. Text contents structure analysis criteria Meyer(1985) based on the Park(2006) was applied for, cohesion analysis criteria McCutchen and Perfetti(1982) based on Kim and Kang(2005) was applied. As a resul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used equal relation type more than subordinate relation type. Among the equal relation type equal-collection-list was the most frequent relation. The result of subordinate-reason rel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 4 and grade 6 (p< .05). The result of subordinate-generalization rel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ade 1, 4 and grade 5 (p< .05). The result of equal-causal rel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ade 1, 4 and grade 5 (p< .05). Als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most often equal progression type, to extend the depth of the semantic structure subordinate progression type were the least used. Conjunction, lexical cohesion, ellipsis were followed in the order, reference/substitution was the least. The result of text contents process and cohesio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목차

<요 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후 주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옥인(Lee, Okin). (2012).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의미구조 및 응집표지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7 (2), 177-196

MLA

이옥인(Lee, Okin).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의미구조 및 응집표지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7.2(2012): 17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