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용교육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재성찰

이용수 354

영문명
Redef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황은영(Hwang, Eun Young)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2집 1호, 31~6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0년대부터 몇몇 학자들에 의해 간헐적으로 우리나라에 소개되기 시작한 다문화교육은 1990년대 후반 이후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 수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다문화교육 정책 및 관련 논의는 외부로부터 한국으로 이주해온 ‘타자들’에 한정되거나 특정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적 차원에서 성급히 추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구성원이라는 특수 집단에 대한 인도적 배려차원에서 한국문화와 한국어 적응을 돕는 동화주의적 이민정책, 혹은 시혜적 교육복지정책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은 우리 사회에 이미 존재했던 다양한 소수자들과, 이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대다수의 일반 학생들을 포함하지 못하는 배제주의적 교육 풍토를 재생산하였다. 그러나 21세기의 한국은 다양한 소수집단과 이질적인 문화요소들이 평화적으로 공존하고 조화로운 융합이 가능한 개방된 다문화사회를 지향한다. 따라서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중심 대상으로 하는 특수한 형태의 이주민 지원교육의 차원을 넘어 사회 전체 구성원을 위한 교육으로서 그 의미와 성격이 새롭게 규정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국 다문화교육의 실태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지향점을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 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포용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고자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다문화교육이 공교육인 학교교육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좀 더 심층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스며들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Multicultural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during the 1980s by a few Korean scholars. As international marriages and inflow of overseas laborers increased in the late 1990s, multicultural education began to attract much more attention. However, discussions on policies and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ere limited to 'them' the minority, or tended to be promoted as a quick-fix tool for special 'problem situations'. During these development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haracterized as being either related to humanistic consideration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 special social group, to help them adapt to Korean culture and language, which was an assimilating immigration policy, or as educational welfare, given to them in the spirit of generosity. As a consequenc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seen as an extension of educational exclusiveness and has failed to incorporate other diverse minority groups who had been present in the society already and the many general students who had been coexisting with all those minority groups. Korea in the new millennium envisions an open and multicultural society where diverse minority groups and heterogeneous cultures coexist in peace and fuse in harmony. In accordanc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hould transcend the narrow scope of support to the students of immigrant families, and it should be redefined and characterized as education for all societal membe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is situation and the deman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stablishes a philosophical ori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owards 'education for all'. As a means of realizing this philosophical orientation, an 'inclusive education' approach is proposed for adoption. This approach will eventually enable multicultural education to merge into public education in schools and into national level educational curricula in a more fundamental and rational manner.

목차

《내용요약》
Ⅰ. 서론
Ⅱ.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서의 포용교육
Ⅲ. 포용교육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재개념화
Ⅳ.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은영(Hwang, Eun Young). (2010).포용교육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재성찰. 글로벌교육연구, 2 (1), 31-61

MLA

황은영(Hwang, Eun Young). "포용교육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재성찰." 글로벌교육연구, 2.1(2010): 3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