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이용수 340

영문명
An Approach for the Mahayana Kan-hua Meditation(看話禪) about Counseling and Healing(黙照禪), and Kan-hua Meditation(看話禪)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석암(金錫岩)(kim seok-am)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6輯, 97~156쪽, 전체 6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1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뇌 과학의 입장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는데 불교의 수행방법인 참선 즉 사마타 위빠싸나와 천태의 지관수행 조사선 묵조선 간화선 등의 자료가 적극적으로 상담과 치유와 정신치료에 응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위빠싸나 수행의 사마타 위빠싸나는 중국에서 지(止)와 관(觀)으로 번역되어 초기선종(初期禪宗)의 수행관으로 발전하였으니 천태지관의 25방편 등 대승선(大乘禪)의 수행법 역시 현대인들에게 맞는 마음 수행법으로 정리 될 수 있다고 생각 된다. 대승불교의 교학에서는 상좌부의 교학보다는 마음을 좀 더 세밀하게 다루는데 치유에 있어서 병자의 병든 마음을 중생의 분별하는 망심(妄心)의 세부구조를 통하여 설명하고 중생심의 그 바탕에 아뢰야식(阿賴耶識)이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 유식(唯識)이다. 유식(唯識)은 인간의 마음을 망식의 입장에서 설명 하지만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는 좀 더 발전된 체계로 마음을 설명하는데 그 중생심 속에는 불성(佛性)도 함께 존재한다는 진망화합식(眞妄和合識)의 아려야식(阿黎耶識)을 바탕으로 여래장(如來藏)이 있다고 설명한다. 불각(不覺)인 범부중생으로 떨어지는 유전연기(流轉緣起)와 그 범부중생이 시각(始覺)의 발심(發心)에 의하여 본각(本覺)의 깨달음의 자리로 회귀하는 설명을 하는 진여연기(眞如緣起)의 중심에 여래장(如來藏)이 있는 것이다. 여래장(Tathagata-Garbha)연기를 통해 중생심 속에는 여래(如來)도 함께 있다는 입장에서 중생이 되고 부처가 되는 마음은 염정연기(染淨緣起)의 3세6추(三細六麤)에 의한 훈습(熏習)으로 번뇌를 조직적으로 설명한다는 면에서 현대인의 고민과 정신치료 및 상담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대승(大乘)의 교리를 바탕으로 발전된 수식관(數息觀)과 정토세계를 갈망하는 염불(念佛)수행과 조사선(祖師禪)수행, 묵조선(黙照禪)수행 그리고 더욱 발전된 간화선(看話禪)은 중생심(衆生心)이 본래 부처라는 자각(自覺)의 발심으로 더욱 긍정적인 수행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대인의 스트레스와 고민을 해결하는 지남으로서 손색이 없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Samatha and Vipasanna is translated with Chinese ‘止’ and ‘觀’ that developed into early meditation of Seon sect. It is adjustable that Mahayana Meditation is basis of 25means(方便) of Tiantai Meditation(天台止觀), and it is suitable with a moderns.Ālaya-vijana(阿黎耶識). On the contrary, it can explained more developed system about mind on Mahāyāna Awakening of Faith(D?sh‰ng qǐxŒn l‰n, 大乘起信論). Moreover, Ālaya-vijana(阿黎耶識) with sattva nature(衆生心) added to the buddha nature(佛性), that is Tathagata-Garbha(如來藏).? Tathagata-Garbha(如來藏) between Hīnayāna pratītya-samutpāda(流轉緣起) for non-enlightenment(不覺) Sattva(衆生) and Tathāgatha pratītya-samutpāda(眞如緣起) for enlightenment(本覺) Sattva(衆生).ītya-samutpāda(緣起) that is someone can be sattva(衆生) and buddha(佛). The Kan-hua Meditation(看話禪) that developed into various meditation based on mahayana theory about sattva nature identical with buddha nature is well presented something positive direction of the practice. It also be a way to fix about stresses and anxieties of today.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문제의 재기
Ⅲ. 명상수행법과 의학적(과학적)효과
Ⅳ. 간화선(看話禪) 및 대승의 수행법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암(金錫岩)(kim seok-am). (2011).「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보조사상, 36 , 97-156

MLA

김석암(金錫岩)(kim seok-am). "「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보조사상, 36.(2011): 9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