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이용수 179
- 영문명
- An Analysis of Screen Reader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on Improving Blind College Students' Computer Work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오현정(Oh Hyun Jung) 육주혜(Yook Ju Hye) 김진술(Kim Jin Sul)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331~3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이 컴퓨터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면읽기 프로그램의 활용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집중적인 컴퓨터 사용이 필요한 전맹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화면읽기 프로그램의 활용도 분석 결과, 전맹 대학생들은 동영상, 표 작성, 문서편집을 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다.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는, 정보의 충분성 만족도에 대하여 평균 4.34점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사용능력에 따라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후 보다 많은 연구 대상자의 확보와 화면읽기 프로그램 자체의 사용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화면읽기 프로그램 버전별 비교분석을 통해 화면읽기 프로그램의 개선점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of Sense Reader Professional Full Edition (X-Vision Technology, Inc.), a screen reader that is used the mose by blind persons for their computer work in Korea. To do so, eight blind students at N University in Korea were selected on purpose in the study. As a result, Sense Reader Professional Full Edition was found difficult to play video clips, to create tables and to edit documents. The satisfaction level on information sufficiency was much high as of 4.34 points, respectively. Also, the participants' ability of using Sense Reader Professional Full Edition was shown to affect the usage level of it. For future research, more number of participants should be involved to improv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investigating and upgrading the functions of Sense Reader.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경직성 하지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 전기 자극이 대동작운동기능과 체간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와 정신분열 대상의 ICF core set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정신장애인의 삶
-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