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이용수 1235
- 영문명
- Item Assessment of Evaluation Tools for ‘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수련(Kim Sooryon) 김향희(Kim HyangHe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207~2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이란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방법에는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여섯 개의 평가 도구들을 중심으로 검사에 포함된 하위 영역 및 문항의 수, 문항의 형식 및 내용, 그리고 활용된 평가척도를 조사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여섯 개의 평가 도구 중 세 개에서만 그 문항들이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었으며, 모든 도구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하위 영역은 없었다. 둘째, 문항의 형식은 행동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묻는 ‘설문지 평가’혹은 피검자 반응을 직접 관찰하여 작성하는‘직접 평가’로 이루어져 있었다. 문항의 내용은‘사회적 상호작용’, ‘읽기/쓰기/수 개념’, ‘일상계획’ 등이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설문지 평가’의 경우에는 대상자의 능력을 확인하는 표현인 ‘can/cannot’, 혹은 일상생활에서 그 행위를 하고 있는지를 표현하는 ‘does/does not’의 상황을 5점 혹은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했다. ‘직접 평가’에서는 피검자의 반응을‘correct/adequate/wrong’으로 판단하였다. 이렇듯 현재 외국에서 활발히 사용 중인‘기능적 의사소통능력’평가 도구들은 다양한 형식 및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기능적 의사소통’에 포함되는 영역들이 광범위하고 평가 대상자, 평가 목적 등에 따라 평가하는 형식 및 내용에 차이가 있음을 말해준다. 향후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이 속한 우리 고유의 사회ㆍ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검사 하위 영역 및 문항의 내용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categories, contents of each item, and rating scales of six evaluation tools i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items in only three out of six tools were subcategorized and there was no subcategory common in all six tools. Second, items or questions were presented using a five-point or seven-point scale in the context of‘can/cannot’ or‘does/does not’. In the direct testing method,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was judged as ‘correct’,‘adequate’, or‘wrong’.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currently available ‘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evaluation tools. This ma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definition of ‘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is rather vague and yet to be clarified. We concluded that upon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o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for Korean population, the items need to reflect validity of functional context as well as the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결과
Ⅲ.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경직성 하지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 전기 자극이 대동작운동기능과 체간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와 정신분열 대상의 ICF core set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정신장애인의 삶
-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