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578
- 영문명
-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박명숙(Park Myung Sook)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139~1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삶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장애여성 16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장애여성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하위영역들 중 신체 및 정신건강의 영역과 대인관계 영역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고, 일 영역과 자율성 및 자아감 영역이 장애여성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여성의 자아감 및 자율성이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자아감 및 자율성에 대한 만족이 그들의 사회생활 및 여가활동의 영역과 일(직장)영역에 대한 만족에 매개하여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애인 복지의 실천적 방안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with disability focusing on psychological dimension. 161 women with dis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tructured instrument are used. The study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variables of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o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y. Second, the variables of job and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and autonom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garding life satisfaction. Third, the factors of self-esteem and autonomy directly affect to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y. Also, the factors of self-esteem and autonomy are working as mediate facto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in the area of social life and job. The 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women with disability are discussed base on the research result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조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경직성 하지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 전기 자극이 대동작운동기능과 체간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와 정신분열 대상의 ICF core set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정신장애인의 삶
-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