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이용수 129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한나(Lee Han Na) 박단비(Park Dahn Be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 간의 소득수준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혀져 왔으나, 빈곤이 가져오는 영향과 역동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빈곤의 영향과 역동을 포괄하는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소득수준 차이가 박탈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로 하여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패널 1차년도(2008년)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인가구원의 유무는 가구소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박탈경험을 거쳐 고립감과 생활만족도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가구가 비장애인가구보다 소득수준이 낮고, 박탈경험이 많으며, 고립감 수준은 높은 반면 생활만족도는 낮으며, 소득수준과 박탈, 고립감은 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가구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과 사회적인 인식제고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Difference between the income of disabled households and non-disabled households had empirically been found through previous studies, but still there was relatively a lack of interest on various areas of life that are derived from poverty. This study is about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ome of disabled household and non-disabled household effects deprivation, and also how it effects isol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mediating. To this end, the data of the first year(2008) of Seoul welfare panel study was utilized and data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analysis, the presence of disabled household affects income of the household, and it also effects deprivation, isol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income of disabled households is lower than that of non-disabled household, has significant experience on deprivation, and the level of isolation is high, whereas life satisfaction is low. Income levels, deprivation and isolation are found to have mediated this result.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much support for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nd raises awareness of the social ideas that are required. d suggest the orientation which education on human rights and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should pursu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경직성 하지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 전기 자극이 대동작운동기능과 체간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와 정신분열 대상의 ICF core set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정신장애인의 삶
-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