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이용수 2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Koran ICT Accessibility Guideline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need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문현주(Moon Hyun Ju) 김석일(Kim Suk il)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181~2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통신 접근성 표준을 개발할 경우에는 모든 장애 유형의 사용자 요구를 골고루 반영하여야 한다. 기 개발된 표준에 대해서도 장애인 사용자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접근성 표준의 근간이 되는‘장애인ㆍ고령자 등의 정보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에 대한 정보통신 사용자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지침은 정보통신 설계지침과 웹 접근성 설계지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설계 지침 별로 ISO/IEC TR 29138-3의 매핑 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통신 설계지침의 경우에는 장애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장애인을 위한 기능 설정, 장애인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 등의 반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접근성 설계지침의 경우에도 장애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장애인을 위한 기능 설정에 관한 사용자 요구의 반영이 미흡한 것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이들 설계지침을 개정할 기회가 있다면 이번 사용자 요구 분석의 결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Whenever ICT accessibility standards are developed, they should reflect user needs for all types of disabil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analyze user needs that are applied to existing standards. This paper analyses user needs of‘Accessibility and Usability Improvement Guidelin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 Citizens’that is known to be a fundamental ICT accessibility guideline of Korea. The guideline includes an ICT design guideline and an accessible web-design guideline, and these two design guidelines are analysed by mapping user needs using a template of ISO/IEC TR 29138-3.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ICT design guideline insufficiently specifies some user needs, such as user privacy and security, accessibility setup and personal risk prevention. The accessible web design guideline is also insufficient in specifying user privacy and security, and accessibility setup. The results of this paper need to be reflected in the subsequent standard revis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장애인 사용자 요구
Ⅲ. 장애인ㆍ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
Ⅳ. 사용자 요구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경직성 하지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 전기 자극이 대동작운동기능과 체간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와 정신분열 대상의 ICF core set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정신장애인의 삶
-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