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이용수 357
- 영문명
- A survey on sexual activities in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장철(Jang Chel) 송민옥(Song Min Ok) 이대희(Lee Dae He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247~2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활병원에 입원해 있는 기혼 뇌졸중 환자들의 성 생활 및 성 생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고, 성 재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에서는 성재활의 선행연구들을 비교하여 보았으며 문화적 환경 및 사회 구조적 차원에 있어 장애인에게서 차별화 될 수 있었던 성 생활 및 성 생활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로 인한 결과로 성재활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들은 첫째, 성 생활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참여하는 비율이 낮았으며, 만족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둘째, 환자들이 기본적인 일상생활활동의 일부인 성 생활에 참여하고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앞으로 작업치료 중재의 일부로써 이러한 성 재활에 대한 접근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질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Sexual Activity is basic desires and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have also sexual desires and may need other way to satisfying these desir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sexual activities, satisfaction of sexual activities, and necessity of sexual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the married stroke patients in rehabilitation hospital.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the married stroke patients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s in Busan and Kyungnam. And they had enough cognition level to answer the questionnaire. Finally we had gathered 73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28.8%(21 people) of 73 respondents said that they‘have sex’. Among those who have said‘have sex’, 71.5%(15 people) people have not satisfied their sexual relationship with their partner. In a question of feels and comfort of the sex, 76.2% (16 people) people answered ‘generally not comfort'. The rest of 71.2%(52 people), who said ‘have not sex', responded the reason for denial of sexuality are ‘fear of recurrence’, ‘rejection of a spouse’, ‘fear of failure’, ‘impotence’, and ‘loss of self-respect’. 61.6%(45 people) of total 73 patients have interest in sex. In comparison, 50.7%(37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don’t try to get information about sexual rehabilitation. 54.8%(40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generally need sexual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38.4%(28 patients) of them responded that they need the counseling for sexual rehabilitation when they ‘start the rehabilitatio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ost of the stroke patients have large interested in sexual activities but the most patients have not sexual activities and not been satisfied. It will be helpful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that individuals with disability participate in the sexual activities as a part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atisfy it. So we propose that sexual rehabilitation education as a part of occupational therapy should be achieved by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more studies about sexual rehabilitation should be continu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경직성 하지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장애인 등의 버스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인 사용자 요구 분석에 기반한 우리나라 정보통신 접근성 고시의 개선 방안
- 전맹 대학생의 컴퓨터 작업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화면읽기 프로그램 활용도 및 만족도 분석
- 뇌성마비 아동의 체간 전기 자극이 대동작운동기능과 체간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와 정신분열 대상의 ICF core set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 정신장애인의 삶
-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 뇌졸중 환자들의 성재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