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적 함의

이용수 1337

영문명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안인기(Ahn Ink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5券 2號, 295~3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 이론과 실천 사례들을 중심으로 미술과 사회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사고하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한편으로 시각문화교육의 심화를 위한 내용적, 관점적 보완과 함께 우리 미술교육의 성장을 위한 자원을 얻기 위해서이다.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실천을 검토하기 위해 교육적 이념적 원리로서 탈 모던적 미학, 비판이론과 비판교육학, 실천에 대한 개념을 다루었다. 실제 사례 연구는 개념 정의를 시작으로 대화적 교수법, 행동주의적 공동작업, 미디어 활용, 봉사학습 영역에서 조망하였다.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은 정의에 대한 신념의 변화와 표현, 부정의와 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행동적 참여, 민주적 시민의식함양, 비판적 사고, 역량강화, 탐구능력ㆍ협력ㆍ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실천 사례들은 우리에게 미술교육의 사회적 책임과 헌신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미술 활동이 공동체사회의 재구성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 윤리적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되며, 실험적이고 학제적인 교수법의 개발을 자극하고 다양한 교육적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tries to find the way how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re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Among the issues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I pick up the aspect that called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nd want to connect it to our educational context. I made a intensive investigation into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form its theoretical back ground, definition, to practical teaching methods. In the practices of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we can extract four characteristics from it-dialogical pedagogy, activist collaborations, appling multi-media, service learning. Through this lens, education becomes a vehicle of social transformation. We can witnes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learning. As Freire said that educators have to engage in the practice of freedom, the means by which the people deal critically and creatively with reality and discover how to participate in th transformation of their world. Through students’ artworks, educators are more able to identify how students see their world and how their visual constructions of meaning reveal their own beliefs about social locations such as gender, race, class, and sexual orientation. Students’ visual construction of meaning is not static and their construction of visual meaning is charged with ideology. activities to recognize issues of difference, challenge assumptions, promote decision-making, expand perceptions, and practice negotiation within groups. Teaching for social justice means going beyond teaching tolerance to engage in the difficult personal and cultural work necessary to help create a brighter future for all.

목차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형성 배경 및 교육의 사회적 실천
Ⅲ.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 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인기(Ahn Inkee). (2011).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적 함의. 미술교육논총, 25 (2), 295-320

MLA

안인기(Ahn Inkee).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적 함의." 미술교육논총, 25.2(2011): 295-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