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晋州 院堂1號墳

이용수 292

영문명
Wondang Mound Tomb No.1 in Jinju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준식(Kim, Joonsik) 권준현(Kwon, Joonhyun) 김도영(Kim, Do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4호, 231~2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가야 멸망 이전 가야지역에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는 횡혈식석실의 개체수는 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30기가 채 되지 않는 수준이다. 그 중에서도 일제강점기 이후 개석까지 고스란히 남은 채 완전한 상태로 조사된 사례는 고령 고아동벽화고분, 고성 송학동1B–1호분, 남원 두락리2호분을 비롯하여 석실 내부 실측자료만 보고된 사천 선진리석실분과 산청 중촌리1호분이 전부이다. 진주 원당1호분은 과거 진양 운천리고분으로 소개된 고분으로, 원당마을로 뻗은 야산의 사면아래에 입지한다. 현재는 분구 정상부 일부가 삭평되었지만 그 전체적인 규모와 형태는 남아있으며, 중앙연도식의 장방형 평면을 한 석실 내부는 손상된 곳 하나 없이 최초에 축조된 상태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다. 봉분규모는 높이 4.3m, 남북 14.6m, 동서 15.7m, 최대길이 16.8m이고, 석실내부는 현실길이 528㎝, 너비 288㎝, 높이 305㎝, 연도길이 293m, 너비 148(108)㎝의 대형 석실분이다. 원당1호분이 위치하는 야산의 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목곽묘, 석곽묘가 다수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횡혈식석실분이 축조되기 이전부터 이 지역에 고분군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석실 하단부에 장대석을 사용한 것, 석실 내부에 구획축조 한 흔적, 석실 장벽 일부에 할석을 세워쌓은 점 등은 기조사 된 주변의 횡혈식석실과 다소 차이가 난다. 따라서 이번 자료는 6세기 가야지역 횡혈식석실의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up to date investigation, the number of the stone-chamber tomb is less than 30, which is constructed before the fall of the Daegaya dynasty in Gaya region. Among the examined cases those of well-preserved with dissection in the post-Japanese ruling era is as follows. These are Goadong Mural Mound Tomb in Goryeong, Songhakdong Mound Tomb No. 1B-1 in Goseong, Durakri Mound Tomb No.2 in Jinju, Jungchonri Mound Tomb No.1 in Sancheong and Seonjinri Mound Tomb in Sancheon which is the only conducted experimental study in the tomb. Wondang Mound Tomb No.1 in Jinju is known as Unchenonri Mound Tomb No.1 in Jinyang in the past. It is located the lower part of the slope of the hill in Wondang town. Currently, some part of the burial mound tumulus on the top is cut. However, its overall scale and formation is still remained. Also, the inside of center entrance road style’s rectangle plane is well-preserved at the first constructed condition without any damages. It is the massive stone tomb that the scale of the mound is height 4.3m, south and north 14.6m, east and west 15.7m, maximum 16.8m, the inside of tomb’s length is 528㎝, width 288㎝, height 305㎝, and the entrance road’s length is 293㎝, width 148(108)㎝. It seems that mound tombs are already formed in Jinju when the stone-chamber tomb is constructed before by observing the distribution of the majority of wooden chamber tombs and stone lined tombs as the slope of the hill is going up. Also, it is distinguished from investigated stone-chamber tombs around by pointing out the height is 3m exceeding from the bottom to ceiling, make use of the long pedestal stone in the lower part of the tomb, the evidence of compartment construction inside, soldier course style of trimmed stone in some of the lower part. Therefore, this data would be the key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stone-chamber tomb study in the 6th century Gaya dynasty region.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조사목적 및 방법
Ⅲ. 원당1호분 검토
Ⅳ. 조사성과 및 의의
Ⅴ. 맺음말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식(Kim, Joonsik),권준현(Kwon, Joonhyun),김도영(Kim, Doyoung). (2011).晋州 院堂1號墳. 한국상고사학보, (74), 231-248

MLA

김준식(Kim, Joonsik),권준현(Kwon, Joonhyun),김도영(Kim, Doyoung). "晋州 院堂1號墳." 한국상고사학보, .74(2011): 231-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