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이용수 484

영문명
The Characteristic Transition on Glass Beads of Proto-three Kingdom Periods excavated from Deokcheon-ri tombs, Gyeongju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동윤(Kim, Dongyun) 김나영(Kim, Nayoung) 이석범(Lee, Seokbeom) 김규호(Kim, Gyuh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4호, 115~13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원삼국시대로 추정되는 경주 덕천리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파편 53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화학 조성을 분석하여 목관묘와 목곽묘로 구분되는 묘제 형식에 따른 유리 문화의 변천과 흐름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가시적 특성 및 미세구조는 실체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화학 조성은 에너지분산형분 광기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경주 덕천리 유리구슬은 융제 조성에 따라 포타쉬유리군 43.4 %, 알칼리혼합유리군 35.9 %, 소다유리군 20.7 %로 다양한 유리 조성이 확인된다. 묘제 형식 중에서 비교적 선행 시기인 목관묘는 포타쉬유리군 91.7 %, 소다유리군 8.3 %로 포타쉬유리가 우세한 반면에 목곽묘는 포타쉬유리군 3.4 %, 알칼리혼합유리군 65.5 %, 소다유리군 31.3 %로 목관묘에 비해 알칼리혼합유리와 소다유리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안정제에 의한 분류에서도 목관묘 출토 유리구슬은 CaO(산화칼슘)와 Al₂O₃(산화알루미늄)의 함량 5 %를 기준으로 LCA–A, LCA–B, LCHA계로 LCA–A계는 벽색 포타쉬유리, LCA–B계는 감청색과 청록색 포타쉬유리 그리고 LCHA계는 벽색의 소다유리로 구분된다. 이에 비하여 목곽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은 대부분이 LCA계로 분류되며 적갈색 소다유리 1점만 HCLA계로 확인된다. 특히, 감청색 유리는 LCA–A계와 LCA–B계가 모두 확인되나, 벽색과 청록색의 유리는 각각 LCA–A계와 LCA–B계로 구분된다. 즉, 안정제의 특성 구분은 유리구슬의 색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경주 덕천리 유적은 묘제 형식이 목관묘에서 목곽묘 단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도 포타쉬유리에서 알칼리혼합유리와 소다유리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이 묘제 형식에 따라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이 차이를 보이는 점은 유리구슬이 고대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역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과학적 분석 자료의 가치를 제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observe the microstructures and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53 pieces of glass beads excavated in the tombs of Deokcheon-ri, Gyeongju at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 The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and flows of glass culture according to the tomb styles including the wooden chamber tombs and wooden coffin tombs. While the visible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s of the pieces were observed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ith an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attached to it. As a result, the glass beads of Deokcheon-ri, Gyeongju showed diverse glass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ablative compositions including the potash, mixed alkali and soda glass accounting for 43.4%, 35.9%, and 20.7%, respectively. In the group of wooden coffin tombs, which were relatively earlier than the other tomb styles, the potash glass accounted for 91.7%, which was much higher than 8.3% of the soda glass. When stabilizers were concerned,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LCA-A, LCA-B, and LCHA according to the 5% content of CaO(calcium oxide) and Al₂O₃(aluminum oxide). The LCA-A category was mostly dark blue potash glass; the LCA-B category deep blue and bluish green potash glass; and the LCHA category dark blue soda glass, which confirms close relations between glass beads and glass colors. In the group of wooden chamber tombs, the potash, mixed alkali, and soda glass accounted for 3.4%, 65.5%, and 31.3%, respectively, with the mixed alkali and soda glass prevailing over the potash glas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wooden coffin tombs. Most of them fell into the LCA category with one exception of reddish brown soda glass, which belonged to the HCLA category. While deep blue glass belonged to the LCA-A and LCA-B category, dark blue and bluish green glass belonged to the LCA-A and LCA-B, respectively. Thus the transitional time from the wooden coffin tomb to the wooden chamber tomb in Deokcheon-ri, Gyeongju seems to coincide with the time of a shift from the potash glass to the mixed alkali and soda glass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Thu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can help to confirm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that constructed wooden coffin tombs and that constructed wooden chamber tomb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윤(Kim, Dongyun),김나영(Kim, Nayoung),이석범(Lee, Seokbeom),김규호(Kim, Gyuho). (2011).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한국상고사학보, (74), 115-131

MLA

김동윤(Kim, Dongyun),김나영(Kim, Nayoung),이석범(Lee, Seokbeom),김규호(Kim, Gyuho).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한국상고사학보, .74(2011): 115-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