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仙道 變轉과 再認識

이용수 300

영문명
Changes in Origin and Reevaluation of Korea’s Seon –do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김성환(Kim, Sung-hwa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24권, 63~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仙道ㆍ仙敎ㆍ仙家ㆍ仙郞ㆍ道敎ㆍ道家ㆍ丹學ㆍ神仙道ㆍ神道ㆍ風流道ㆍ風月ㆍ風月道 등은 현재 한국에서 소위 道敎類의 종교와 이를 추종하는 집단 또는 개인에 대한 명칭으로 불리는 개념들이다. 이를 하나의 특정 종교로 파악할 때, 그 명칭들의 다양성으로만 보더라도 여러 갈래의 계파와 집단들이 존재했음을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다. 그리고 이들은 현재 道敎와 道家라는 큰 범주에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그것이 어떤 용어이든 다종 다기한 개념들을 하나의 범주 속에서 이해하는 것야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에는 관심이 덜하다. 이것은 도교라는 전체의 틀 안에서 이와 유사하거나 그렇다고 생각되는 여러 가지의 것들을 범주화하려는 경향에서 나타난 것이다. 그런 움직임은 고려 전ㆍ중기이후 조선시대까지 오래기간에 걸쳐 지속되었고, 우리는 그 결과를 중심으로 소위 道藏類의 자료들을 이해하고 있다. 여기서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점은 道敎와 仙道[仙敎]는 별개로 이해하여야 하는 개념으로, 이것은 ‘전래설’과 ‘자생설’의 측면에서 접근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즉 仙道는 도교와 유사한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안에서 이해하고 인식해서는 안 되며, 우리 고유의 종교로 사상사와 종교사의 입상에서 별개 영역으로 다루어져야 힌다는 점이다. 이 글은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仙道의 유래와 운영을 비롯하여 시대에 따른 변화 양상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시대의 변화양상을 고려하지 않고 고조선 시조인 단군을 정전으로 하는 仙家의 도맥을 일원적으호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것은 한국 仙道의 자생성ㆍ전래설ㆍ공유설의 차원이 아니라 도교와는 구별되는 독립된 仙道와 그 문화에 대한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아울러 조선후기 仙家의 역사관이 실학자들의 그것에 일정부분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Sean-do, Seon-gyo, Seon-ga, Taoism, Do-ga, Danhak, Sinseon-do, Sin-do, Pungryu-do, Pungwol-do, Pungwol and so on signify names given to collective and individual concepts related to modern Korea’s Taoist religion and its imitators. When they are recognized as one specific religion,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at they are various offshoots and groups, even with the variation in names. Not much attention is paid, though, to the fundamental problem surrounding the gathering of these various concepts and terms into one understandable category. This stems from the trend of trying to categorize diverse concepts considered to be fundamentally similar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Taoism as a whole. This movement encompasses a long period from before Goryeo through the middle ages to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which can be understood to center on the so-called taoist class document. If we keep in mind the obvious point that Taoism and Seon-do[Seon-gyo] must be understood as separate concepts, there should be no trouble in approaching them from the aspect of ""transmitted theoretical"" and spontaneously generated theoretical. While it is true that Sean-do has similarities to Taoism, we should not read too far into this : we must treat each fai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 inherent ideological and religious history. Based on that understanding of history, this essay will reexamine the aspects of its change through the ages beginning with its origins and conduct. Rather than considering each age’s change, we will try to use Old Joseon founder, Tangun, as a starting point to see whether it is possible to gain a unified understanding of Soon-ga’s context. We will not approach Korean Soon-do from the dimension of spontaneous theoretical. transmitted theoretical or total theoretical. Instead we will present the case for the need to approach Seen-do and its culture as independent from that of Taoism. In addition, we will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a part of late Joseon’s historical understanding has been reflected in the approach of Silhak scholar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仙道와 道敎,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
2. 仙道[風流道]의 由來와 運營
3. 仙道와 仙風
4. 한국 仙道의 재인식, 『海東異蹟』-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환(Kim, Sung-hwan). (2011).韓國 仙道 變轉과 再認識. 한국사학사학보, 24 , 63-93

MLA

김성환(Kim, Sung-hwan). "韓國 仙道 變轉과 再認識." 한국사학사학보, 24.(2011): 6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