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어휘판단에서 단어길이 효과

이용수 2013

영문명
Word Length Effect in the Lexical Decisions of Poor Comprehen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황민아(Mina Hwang) 최경순(Kyung-Soon Choi)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4호, 570~58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장애아동의 단어해호화 과정의 특성을 실시간(on-line)으로 측정한 연구들은 난독증 아동들에 집중되어 진행된 반면, 음독능력이 정상범주에 속하는 읽기이해부진아동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자소-음소 전환이 규칙적인 언어들의 경우 단어 음독의 정확도가 아니라 속도가 읽기이해와 상관이 있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면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의 음독 정확도가 일반아동들과 유사하더라도 단어를 읽고 재인하는 속도는 일반아동들에 비해 느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단어를 읽고 재인하는 과정의 실시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의 읽기이해부진아동 10명과 일반아동 12명이었다. 단어재인과정에서 단어 길이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음절과 4음절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어휘판단의 반응 정확도와 반응속도 모두에서 일반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단어 길이 효과는 두 집단 아동들 모두에서 나타났지만, 읽기부진아동에게서 유의미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은 표준화된 읽기 검사에서 실시한 음독의 정확도가 일반아동들과 유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어휘판단 과제에서 일반아동에 비하여 단어를 읽고 재인하는 정확도가 떨어지고, 속도가 느렸으며 이러한 경향은 긴 단어에서 더욱 강력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참가한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읽기이해 뿐 아니라 단어재인에서도 일반아동들에 비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과 같이 자소-음소 전환이 규칙적인 언어에서 단어해호화 능력의 발달을 측정할 때 음독의 정확도만을 기준으로 삼는 것의 제한점과 이에 따른 읽기장애 분류의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Purpos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vestigating the on-line word-decoding process during reading in dyslexic children using various languages, studies on word-decoding skill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re limited. Poor comprehenders are supposed to have normal word-decoding skills based on their accuracy scores in standardized word-reading tests. Reportedly, for children learning to read languages with transparent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s highly correlated with reading speed but not with the accuracy of word-reading. Since the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language is known to be transparent, it is possible that Korean poor comprehenders are slower in recognizing words relative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ven though the accuracy of word-reading is similar in the two groups. Methods: Ten poor comprehenders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4th grad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children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on words with two different lengths, two syllables or four syllables. Result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significantly slower and less accurate in their performances on the lexical decision task. The word-length effec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oor comprehenders, as the differences in speed and accuracy of lexical decision between short and long words were greater in the poor comprehender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scussion & Conclusion: In a standardized reading test, the poor comprehenders only exhibited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and were similar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word-reading accuracy. However,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indicated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 word-recognition.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n a language with transparent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like the Korean language, using word-reading accuracy as a measure of word-decoding skills may not be appropriate. The importance of cross-linguistic differences of reading development in diagnosing various types of reading disabilities is also discussed in the present pap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2011).읽기이해부진아동의 어휘판단에서 단어길이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 (4), 570-581

MLA

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어휘판단에서 단어길이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6.4(2011): 570-5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