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의 인간론

이용수 75

영문명
Man in Early Buddhism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저자명
이효범(Lee, Hyo-Bum)(李孝範)
간행물 정보
『초자연현상연구』第2輯, 46~64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4.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의 인간론은 무아설로 집약된다. 이것을 구조적 측면에서 설명하면 오온설이 되고, 발생적 측면에서 설명하면 연기설이 된다. 무아설에 의하면 어떤 것을 나의 것 혹은 나의 소유라고 생각한다면 잘못이다. 붓다는 무아설에 의해서 진실한 실천적인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였다. 즉 외적 혹은 구체적으로 파악되는 어떤 것에 대한 집착이나 번뇌를 끊고 온화함을 획득한 위대한 사람이 되라는 것이다.

영문 초록

Buddha rejected the view of a man as a construction from material particulars. He also rejected the view of a man as a eternal self(atman). There is not such a thing as a ‘self’, but five aggregates of processes. There is not an unchangeable thing belongs to me, but a result of twelve causal relations. The false belief in a ‘self’, or a ‘substance’ is the cause of all sufferings. But Buddha did not deny explicitly a ‘self’. The metaphysical dispute like whether real self exists or not, he thought, interrupted the Self-realization. He claimed that mental and material elements or functions which constituted a empirical individual were not a real self. They are changed, so they can not be a eternal self. If we could get rid of our selves, we would be perfectly happy. By this doctrine of ‘not-self’, Buddha alms an entirely new attitude to life. As a Buddhist, man must learn to behave as if there were no ego. We must awake and live like Buddha.

목차

Ⅰ. 서론
Ⅱ. 인간에 관한 붓다 당시의 견해들
Ⅲ. 인간의 구조적 측면(오온설)
Ⅳ. 인간의 발생적 측면(연기설)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범(Lee, Hyo-Bum)(李孝範). (1994).불교의 인간론. 초자연현상연구, 2 , 46-64

MLA

이효범(Lee, Hyo-Bum)(李孝範). "불교의 인간론." 초자연현상연구, 2.(1994): 46-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