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종묘 주렴 연구

이용수 437

영문명
A Study on the Bamboo-blinds(朱簾) Put in the Jongmyo[宗願]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장경희(Jang, Kyung-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4집 2권, 28~45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르의 해제 및 표현매체의 다양성과 더불어 현대도예는 점차 다원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작품 읽기에 있어 전통적인 틀을 벗어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인간 중심의 ‘몸(body)’ 을 통한 현상학적 공간 개념은 새로운 시대, 공간을 해석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현상학(phenomenology)’ 의 대표적인 철학자 메를로-퐁티(Merleau-Ponty)는 인간이 주체가 되어 살아 있는 경험 속에서 인간과 공간이 서로 상호 얽힘을 통하여 주어지는 공간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지적하는 공간은 물리적인 요소로 구축되어진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신체지각 개념을 동반하는 움직임에 의한 체험적 공간이다. 움직임은 인간을 주제로 신체지각을 구제화시키는 표현 요소이자 공간인지의 자극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현대 도예의 다양한 양상을 작품에 내재된 움직임의 표현 방식 중심으로 유기적 형태, 탈정형적 오브제, 비물성 요소와의 결합, 우연성에 의한 질감(texture)효과, 퍼포먼스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오브제 자체의 형태적 특성으로의 접근, 흙 본연의 물성 또는 비물성화, 퍼포먼스 등 신체와 공간의 관계 맺음을 통한 인터랙션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에 의한 움직임의 표현과 그에 부합하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신체의 감각과 지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 물리적으로 불변한 도예작품에 현상학적 공간 지각개념을 도입하여 움직임을 표현하는 이론적 기반 및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영문 초록

Jongmyo was The Royal Ancestral Shrine Jongmyo is an ancestral shrine for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After death kings and queens became ancestral gods and were enshrined in the Jongmyo. An incumbent king w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predecessors enshrined in the Jongmyo since it demonstrated that he had legitimately and safely succeeded to the hereditary kingship.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founded on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intended to rule the state according to Confucian manners, which required the nation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passed kings and queens enshrined in the Jongmy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king and queen were not enshrined in the Jongmyo as soon as they died. After their death, a mortuary tablet of the king or queen was enshrined for 3 years in a royal mausoleum or a pavilion for their souls, for whom was held a memorial service. In 3 years, on a an auspicious day, the mortuary tablets were ceremonially moved into the Jongmyo by a temporary government institution established for producing various objects of craft-work which were put into a niche in Jongmyo along with the tablets. The institution also produced Juryom[朱簾]woven with bamboos. which were to put on the niche, both of its walls and its main gate. A Juryom was lacqered red color. In the Joseon Dynasty, only the craft-works used by the king or queen were colored red and a Juryom was also utilized to decorate just the palace where the king or queen stayed, Jongmyo or others. In particular, only three kinds of Juryom were used in the Jongmyo. A big Juryom was hung on the gate outside Jongmyo, a middle-sized Juryom was used to block a wall from another in the niche, and a small Juryom was hung in front of the niche where mortuary tablets were put.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into how the said institution produced a Juryom so as to enshrine kings and queens in the Jongmyo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urrently, Juryom in the Jongmyo are much damaged. The present author wishes that the strings of beads should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y are compared with relevant records.

목차

Abstract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부묘도감의 설치와 의물 제작
Ⅲ. 조선후기 종묘 주렴의 종별과 제작
Ⅳ. 종묘 주렴의 현황과 원형 복원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경희(Jang, Kyung-hee). (2011).조선후기 종묘 주렴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4 (2), 28-45

MLA

장경희(Jang, Kyung-hee). "조선후기 종묘 주렴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4.2(2011): 28-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