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鴨綠江 上流 臨江

이용수 169

영문명
The Existence Mode of the Group Establishing Stone Filed Tombs at Limkang - Jangbak Areas Upper the Ap-rok River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朴京哲(Park Kyung-Cheol)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8집, 3~58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압록강 상류 유역 臨江-長白 지역의 고구려 관련 유적지는 적어도 43 개 소에 이른다. 그 중 長白의 干溝子古墳群은 그 상한이 B.C 3 C까지 운위되는 국가 형성 이전 ‘高句麗社會’와 유관한 유적이다. 이 고분군축조집단은 指導者(leader)의 權威에 바탕하며, 내부 구성원 간에 階序關係가 작동하는 ‘局地的 集團(local group)’ 즉 ‘那集團 / 谷集團’ 수준의 社會的 複合度(social complexity)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를 영위했던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간구자 고분군을 축조했던 집단이 형성된 경제적 계기와 기반을 交易에서 찿을 수 밖에 없다. 이 지역에서 漢 측이 통제하는 ‘朝貢’ 개념에 입각한 交易 system이 가동되기 시작되었다. 간구자고분군 축조집단이 중원 세력과 거래했던 교역품목으로서 毛皮와 人蔘 그리고 木材를 꼽을 수 있다. 간구자 고분군축조 집단은 이런 품목들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지역적 여건에 힘입어 전에 없던 경제력을 축적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간구자고분군축조집단의 지속적 성장의 징후는 그 생성의 조숙성에 비해 찿아 보기 어렵다. 압록강 상류 유역의 제 적석총 고분군 축조집단은 대부분 그 세력 부침의 단층성이 매우 크며, 그만큼 외적 충격에 매우 취약한 존재들이었다. 임강 지역은 압록강 상류 유역의 임강-장백-백산 지역에서 가장 지속적으로 또 안정적인 발전경로를 밟아온 곳이다. 이 중 6道溝 東甸子集團이 이곳 자원의 생산ㆍ유통과 관련된 제반 잉여의 향유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고구려 국가권력은 이러한 교역을 위한 생산과 유통 과정을 독점적으로 통제하는mechanism을 가동시켜 나갔고, 결국 동전자 집단 역시 이러한 기제에 기생하는 존재로 정위되게 되었다.

영문 초록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Koguryo ruins at LimKang-JangBak areas up the Aprok river may be at least 43. Particularly, Gan Gu Ja tombs is the ruin relating to the Koguryo society, which is supposed to be established at BC. 3 century. This group establishing ancient tombs was based on the authority of leader, and wa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the local group which succession relations among internal members had worked, that is Na group/ Gok group whose social complexity was relatively lower. The economic opportunity and reasons establishing Gan Gu Ja tombs must be due to the internal trade. In this area, the trade system, which based on the concept of Han’s tribute, had begun to operate. The group establishing ancient tombs might have accumulated immense wealth, because they were located at the areas where the precious materials such as fur, ginseng, and timber were available easily. However, the symptom of this group’s sustainable growth, compared to the premature development of this group, is very difficult to find. Most of groups establishing the stone filed tombs at the area up the Aprok river were more likely to be consisted of one stratum homogeneous groups, therefore were very fragile against the external enemy’s attacks. Imkang area was the place where had traced the stable development continuously at Imkang-Jangbak-Banksan areas up the Aprok river. Among them, the six Dong Jeon Ja groups were appeared to be rulers enjoying the several interests coming from productions and trades of materials in these areas. But Koguryo’s national power had run the mechanism controlling exclusively the production and trade, as a result, Dong Jeon Ga group was also regarded as the existence which was parasitized in that mechanism.

목차

Ⅰ. 序言
Ⅱ. 臨江-長白地域 高句麗 關聯 遺蹟의 實態
Ⅲ. 干溝子古墳群築造集團의 社會的 存在樣式
Ⅳ. 干溝子古墳群築造集團의 經濟的 基盤
Ⅴ. 臨江-長白地域 諸積石塚築造集團 간의 勢力構圖 變動相
Ⅵ. 結語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京哲(Park Kyung-Cheol). (2011).鴨綠江 上流 臨江. 역사문화연구, 38 , 3-58

MLA

朴京哲(Park Kyung-Cheol). "鴨綠江 上流 臨江." 역사문화연구, 38.(2011): 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