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국사 교수

이용수 139

영문명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두헌(Kim, Doo-Heo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8집, 331~37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학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한국 역사상 존재하였던 가계 기록의 종류와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가계 기록인 족보는 고려 말부터 간행되었지만, 조선 전기에 간행되어 현전하는 것은 30편 내외에 지나지 않는다. 가승은 족보보다 먼저 편찬되었는데, 족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가계 기록이었다. 내외보와 팔고조도는 현전하는 수가 적지만 외가를 폭넓게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부계 위주의 족보와 다른 특징이 있다. 각 성관의 주요 가계를 간추려 정리한 종합보에는 거의 대부분 양반 가계가 수록되어 있다. 교과 내용과 관련된 가계 기록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로 다음 네 가지 사실을 들었다. 첫째, 유교가 조선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막대한 영향을 미친 사회 이념이라는 사실이다. 둘째, 조선 사회가 가문 중심의 사회였다는 사실이다. 셋째,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여성의 지위가 변화되었다는 사실이다. 넷째, 조선 후기에 시간이 흐를수록 유력한 가문의 문벌화가 심화되어 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연구 성과와 관련된 고등학교 교과 내용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을 서로 연관시켜 학습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 학습의 효과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었다. 그것은 첫째 시간의 연속성을 느끼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 둘째 자신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갖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셋째 보편성과 개별성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넷째 가족애와 친족애를 고취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등이다.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 학습 시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으로는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족보가 없다는 사실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시켜주어야 한다는 것, 둘째 오늘날의 시대 이념에 적합한 가계 기록을 만들기를 권고해야 한다는 것, 셋째 족보의 내용 중에 허위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진실성이 뛰어나다는 사실도 밝혀 주어야 한다는 것과 족보의 위조된 부분을 가려내는 방법 등이다.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는 가계 기록 사료 학습은 교과 진도와 직접적으로 관련해서는 본시 학습에서 관련이 있을 때마다 활용하는 분산적 접근 방법과, 교과 진도와 상관없이는 주제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주제 접근 방법의 가계 기록 사료 학습은 한 종류의 사료만을 학습 자료로 사용하여 관련 교과 내용을 학습한 이후에 통괄적으로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학습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사료 학습과 다르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사료 학습은 드물게 실시하는 학습이므로, 교과 내용뿐만 아니라 교과 외의 내용도 학습하고 학습 내용과 현재와의 관련성도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역사학의 실용적 가치를 느끼게 할 것을 권장하였다. 한편 이러한 학습 내용과 방안이 담긴 사료 활용 카드와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First, the types and the contents of korean genealogical records were introduced. Chogbo(族譜) referring to typical korean genealogical records was published from the end of Goryeo(高麗) era in the korean history, but there are only thirty pieces of them which have come down from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Gaseung(家乘) compiled before Chopbo was the fundamental genealogical record. Though the number of Naeoebo (內外譜) and Palgojodo(八高祖圖) is few in existence, but they are different from Chogbo which mainly copes with paternal line, in that they contain the history of mother’s side. Yangban(兩班) lineage was almost written in the Chonghabbo(綜合譜) that arranged main lineages of each clan. The previous results of research on genealogical records related to subject matter were presented. First, the confucianism was a dominated social idea in the Chosun(朝鮮) dynasty. Second, the Chosun society was set by family. Third, Imjinwailan(壬辰倭亂) was the standing point of the change of women’s social status. Finally, the rate that influential clan occupied high office was gradually intensified in the late Chosun. The educational effects of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were presented. First, it is the most effective to cognize the continuity of time. Second, to assure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one’s own is effective. Third, to be aware of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s effective. Fourth, to infuse the love for family and relatives is effective. It is recommended to keep the following three things in mind when an instructor makes a use of genealogical records as historical learning materials. First, teacher should impress that it is not shame of not having Chogbo(族譜). Second, it should be promoted to compile genealogical records to suit social ideas of today. Third, it should be clarified that most of genealogical records are credible enough to be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ough some of them contain false information. And the way to detect the parts of forgeries was presented. O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genealogical records can be used with dispersive approach available at any time the lesson is related to them partially and subject approach when is related generally. The subject approach method used genealogical records is different from the other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in the way 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essed with only one type of historical materials. As subject approach is rarely carried out in one year, it was encouraged to study not only subject contents but also substances beyond them and include connec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in order to help students profoundly understand history and its practicality. It was showed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cards and lesson plan containing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mentioned above.

목차

Ⅰ. 머리말
Ⅱ. 가계 기록의 종류와 내용
Ⅲ. 연구 성과의 활용
Ⅳ. 교육적인 효과
Ⅴ. 교수-학습의 실제
Ⅵ. 맺는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두헌(Kim, Doo-Heon). (2011).고등학교 국사 교수. 역사문화연구, 38 , 331-376

MLA

김두헌(Kim, Doo-Heon). "고등학교 국사 교수." 역사문화연구, 38.(2011): 331-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