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주택단지의 CPTED 도입현황과 문제점
이용수 1070
- 영문명
- A Study on Schemes to Activate CPTED in Housing Complex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순석(Kim, Soon-Seok) 김대권(Kim, Dae-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7권 제1호, 55~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주거환경에서의 범죄문제는 단순히 물질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해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측면에서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삶을 영위하는 공동주택단지의 경우 거주자들이 각각의 거주지뿐만 아니라 단지 내 외부공간에서도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됨에 따라 공동주택단지는 다양한 주거 가치의 확보가 요구되는 하나의 커뮤니티로서 작용하게 되었고, 범죄 감소를 위한 노력은 범죄피해와 함께 단지 내 생활공간에서 범죄불안감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이슈로 떠오르는 개념이 범죄에 취약한 공간적 요소를 최소화하고 자연적 감시를 증진시키기 위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이하 CPTED)” 개념이다.
CPTED는 종합적인 범죄예방 전략의 한 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국가적 범죄예방 정책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역개발계획과 조화를 이루어야 제대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선진 민주국가 경찰행정 이념에 있어서 규범으로 자리잡고 있는 ‘지역사회 지향 경찰활동(Community Oriented Policing)’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때, CPTED는 ‘지역공동체 치안(Community Safety)’ 확보라는 현대지역행정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
CPTED와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공히 범죄예방에 있어 ‘문제해결식 접근(problem-solving approach)’을 강조하고 있으며, 범죄의 발생률과 범죄에 대해 느끼는 공포심의 감소를 위해서는 경찰과 주민간의 긴밀한 협력과 공조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consider various methods needed to construct a safe city environment free from crimes, to which people is recently paying growing attention, and especially to suggest policies applicable to innovation cities whose construction is being encouraged these days.
To do that,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while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made of the cases of the application of CPTED in each country. Complementary researches were also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ersonnel in charge of practical matters in such innovation cities as are being or have been constructed around the country.
CPTED may be understood as part of comprehensive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nd can achieve their intended goals only if they are in concert with national crime prevention policies and local development plans.
Now, the following are several limits and problems expected in the future when the theories of CPTED will be introduced and promoted in Korea.
Firstly,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into the existing views of CPTED, which are possessed by the police and the local resi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operation of CPTED. The investigations found that both the police and residents mostly approved the introduction of CPTED and expected it would bring about very good crime prevention effects.
Secondly, a consideration has been made of a relevant budget, which may be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introducing and applying CPTED. A fundamental reason for preparing a poor budget was not legal support systems but the appropriate organizations' lack of awareness and will to prepare and execute a good budge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ctive advertizement is required to enhance the government's understanding of CPTED.
Thirdly, legal support shall give a strong impetus to efficient introduction of CPTED.
Lastly, there are many limits and problems to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Currently, we have no institutional support, which is needed for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introducing and applying CPTED. This research proposes new establishment of a SBD system which certifies the safety of construction processes after checks and post confirmation are made and a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which assesses and recognizes the quality, safety and appropriateness of products related to construction and crime
prevention. Also, a need for cultivating relevant experts is stressed.
In an effort not to limit crime prevention strategies to the problems of men but to
search for more fundamental schemes, it is expected that CPTED, which aims to reduce
crime opportunities by means of designs of environment and to suppress crime intentions,
will develop continuously more in the futur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CPTED와 지역개발과의 관계
Ⅲ. 공동주택단지의 CPTED 도입현황 및 문제점
Ⅳ. 공동주택의 CPTED 적용을 위한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천대학교 대학생활상담센터 사업 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 수성대학교 학생상담센터 PERSON모형과 비교과 연계 심리체계모형
- 대학생 조기 대학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활용 사례 연구: 인덕대학교 The 모노 또래 멘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