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합스부르크 신화와 ‘오스트리아 담론’

이용수 412

영문명
The Myth of Habsburg and Austria Discours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라영균(Ra, Young Kyu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5권 특집기획호, 41~6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해체가 남긴 충격과 함께 극심한 정치적, 경제적 혼란에 빠졌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오스트리아 담론’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으로 이해된다. 경제적 자립이 어려웠고 독일적인 정체성이 강했던 오스트리아로서는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보다 독일과 합병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난맥상 속에서 ‘오스트리아 담론’은 오스트리아를 긍정하고 자기이해를 도모하려는 노력의 표현이지만 동시에 비판과 풍자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오스트리아의 정체성을 긍정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과거 합스부르크 제국의 전통과 유산이 1918년 이후에도 존속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역사적 연속성에 대한 믿음은 오스트리아를 긍정하는 모든 담론들의 중요한 논거이다. 반면 오스트리아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비판하는 담론들은 이러한 자기 긍정과 미화가 냉철한 현실인식과 성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합스부르크 신화에 근거한 과장된 허구이며 왜곡된 주장이라고 비판한다. 호프만슈탈과 무질은 아마도 오스트리아 담론의 양면적인 성격을 각각 대표하는 작가들일 것이다. 이들은 비록 오스트리아의 정체성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오스트리아라는 주제가 이들의 시대의식과 민족의식의 중심에 있었음은 분명하다. 한 쪽에서는 현재를 합스부르크 제국과 그 전통의 연장선에서 이해했고, 다른 쪽에서는 그것은 현실과는 무관한 꿈에 세계라고 치부했다. 오늘날까지도 오스트리아의 고유한 특성이나 정체성은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지닌 주제로 남아 있다.

영문 초록

After the World War I, Austria had fallen in extreme political, economical crisis with a shock of Habsburg Empire’s dissolution. In this progress, the ‘Austria Discourse’ has been created and this progress can be understandable as an effort for establishment of their own identity. Austria was hard to keep economical independence and has strong germanic identity. Due to this reason, merge with Germany is more realistic than to keep their own identity. In this timely chaos, the ‘Austria Discourse’ was an expression to acknowledge Austria and an effort to promote self-knowledge. At the same time it became to an object to criticism and satire. Most people who affirms the identity of Austria have a belief that former Habsburg Empire’s tradition and legacy will be still alive after 1918. The belief of historical continuity is important base of all the discourses which affirm Austria. On the other hand, a discourse which criticize the endemism and identity of Austria criticizes this self-affirmation and beautification is distorted opinion and they came from exaggerated fact which based on Habsburg mythology, not came from cool-headed realization of reality and introspection. H. Hofmannstahl and R. Musil representing each side of the Austria Discourse’s both side. They have different position with the identity of Austria. But the topic ‘Austria’ was centered in their period consciousness and ethic consciousness. On one side understanded the present as an extension of Habsburg Empire and its tradition. The other side regarded it’s just a dream world which unrelated with the current. Up to this day, Austria’s own characteristic and identity still have these limitations and problems.

목차

〈국문 개요〉
1. 합스부르크 신화와 오스트리아 담론
2. 오스트리아(인) 담론 (1914-1938)
3.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라영균(Ra, Young Kyun). (2011).합스부르크 신화와 ‘오스트리아 담론’. 동유럽발칸연구, 25 , 41-64

MLA

라영균(Ra, Young Kyun). "합스부르크 신화와 ‘오스트리아 담론’." 동유럽발칸연구, 25.(2011): 4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