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5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이용수 398

영문명
Study on the Zhuanshu(篆書) from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in the 15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이인숙(Lee, In-su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8호, 109~14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15세기 神道碑 碑額 篆書를 살펴본 것이다. 문자 발생기부터 한자문화권의 문명을 기록해온 오랜 역사성을 지닌 전서는 통용체로서의 역할을 상실한 秦대 이후에도 인장과 석비 등에 꾸준히 사용되었다. 유학 사상을 정치 이념으로 삼은 조선이 건국되면서 建碑의 주 대상은 승려에서 왕실과 사대부계층으로 바뀌었고, 유교적 가치관이 심화됨에 따라 전 계층에서 묘비류 건립이 성행하였다. 그 중 고려 후기에 갑자기 등장하여 조선시대에 널리 확산된 신도비는 건립의 자격, 비의 조형 형식, 비문의 체제와 내용, 서사의 격식 등에서 조선시대의비를 대표한다. 신도비는 조선시대 오백 여 년의 전 시기에 걸쳐 분포하며 많은 양이 남아 있다. 신도비 비액 전서는 비의 의례성과 심미성이 복합된 부분으로 그 변화상은 전액 서풍의 변천에만 그치지 않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조선 초에는 태조 健元陵, 태종 獻陵, 세종 英陵 등에 왕릉 신도비가 세워졌으나 임금의 공업은 國史에 낱낱이 적혀 있으므로 별도로 비석을 세워 기록 할 필요가 없다는 신료들의 주장에 따라 문종 이후 능신도비는 폐지되었다. 능신도비가 폐지됨에 따라 신도비는 고위 관료를 배출한 가문만이 향유하는 독특한 비가 되었다. 신도비는 2품 이상 고위직을 지낸 사대부 묘역을 차별화시키는 기제로서 이들을 배출한 가문이 갖는 고유한 사회적 위상과 그 집단들의 동질성과 정체성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15세기의 왕릉 신도비는 唐碑의 古制로 거슬러 올라가 고려시대 비의 형식을 계승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액 또한 碑首 부분에 3字씩 2행으로 縱書하는 ‘묘호+능호+(之)+비’의 6字 형식으로서 碑題에만 신도비라고 기록하여 碑額의 표기방식이 관료들의 신도비와는 달랐다. 전액은 정돈된 짜임과 曲直이 정제된 엄정한 획법의 小篆으로서 수준 높은 서사를 보여준다. 15세기의 일반 신도비와 달리 장방형 체세인 점은 소전의 원 법식이기도 하지만 螭首의 규액형 공간에 세로로 씌어졌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 신도비의 전액 또한 소전을 定式으로 하였으며 ‘시호+성+公+신도비명’의 8자 정도로 구성되었다. 서풍의 특징은 체형이 정방형에 가까운 점, 필획이 상당히 굵은 점, 圓轉이 강조되어 弧劃이 많은 점, 동그라미형태의 필획이 보이는 점, 起筆과 收筆 부분에서 붓을 눌러 도톰하게 처리 하는 점 등으로 소전의 정통 서사법과는 거리가 있으나 유려하면서도 건실한 풍격을 나타내고 있다. 15세기 신도비 전액의 가장 큰 특징은 이후의 조선시대 전액에서 찾아볼 수 없는 剪刀篆과 象形字가 비액에 나타난 점이다. 剪刀篆으로 비액을 쓴 〈南陽府夫人 洪氏神道碑〉(1497년)는 조선시대의 유일한 민간 여성 신도비로서 딸인 인수대비의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해 세워질 수 있었다. 왕실의 비빈이 아닌 여성의 신도비라는 점 때문에 특이하게 고전체를 비액에 사용했을 것이다. 〈月山大君神道碑〉(1489년)는 金文의 象形字를 소전과 함께 사용하였다. 이 두 비의 古篆體 전액은 유교적인 의례문화가 정착되기 이전인 조선 초기였으므로 나타날 수 있었을 것이다. 아울러 書者인 任士洪(1445-1506)이 당시의 권신이었다는 점 또한 작용 하였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Zhuanshu(篆書)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looked into focusing on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Zhuanshu(篆書) was steadily used asceremonial purposes showing respects, after losing its general usage. The gravestones are documents for the history of arts and calligraphy as well as historical documents as recording medium leaving one's life and works to the future generation. The Zhuanshu(篆書) epitaph of the gravestones contains the ceremoni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so shows well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Founding the Joseon dynasty, the main rank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numents had changed from the monks to the kings and the noblemen, and with the influence of the confucian ceremony which considered the funeral ceremony very important, a lot of gravestones were established. All of a sudden, the gravestones were started to appear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and to spread out in the Joseon dynasty. The qualification to establish the gravestones were limited to the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higher than the senior grade of the second court rank, and so they show very well the high-class culture which were enjoyed by the high-ranking noblemen. In the graveyards of Taejo(太祖) JianYuanLing(健元陵), Taejong(太宗) XianLing(獻陵), and Sejong(세종) YingLing(英陵)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gravestones were established, but they was abolished after the king Munjong(文宗). So that the gravestones became a unique style which were established only in the graveyards of the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nd they started to contain a significant meaning on the status of the cemetery.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of the royal tombs in the 15th century followed the old system of the Silla dynasty, which of the first two lines of the head part were written with the vertical writing, and they are six letters as follows, 'temple name(廟號)+the name of the Ling(陵號)+the(之)+monument(碑)'. They are square build writing written with strictly impartial Xiaozhuan(小篆), and they are in common with other Zhuanshu epitaph in the 15th century. Zhuanshu epitaph of the gravestones in the 15th century has from six to eight letters as this 'posthumous name(諡號)+last name+public(公)+the name of the gravesto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aozhuan(小篆) are as follows; they are square build or close to it, the strokes are very thick, the turning points are bended with gradual curve, the beginning and the receiving parts are thickened with a bit of strength, and the letter structures and the line qualities are a little unstable. With all these, Xiaozhuan(小篆) has generally simple calligraphic style.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of the Zhuanshu epitaph of the gravestones in the 15th century is that the ancient Zhuanti(古篆體), Jeondojeon(letters written with scissors seal-剪刀篆) and pictograph(象形字) were taken on, which were not found in the Zhuanshu epitaph in the Joseon dynasty hereafter. Because it was the only gravestone which was established for a private woman, and also it is considered to be possible to use unusual bronze pictograph, because it was done in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dynasty before the confucian ceremony was settled down firmly.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신도비의 성립과 체제
Ⅲ. 왕릉의 능비 제도
Ⅳ. 15세기 신도비의 비액 전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숙(Lee, In-suk). (2011).15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서예학연구, (18), 109-140

MLA

이인숙(Lee, In-suk). "15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서예학연구, .18(2011): 109-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