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화.손상에서 초월.성장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12

영문명
A Study on the Necessity of Paradigm Shifting from Aging-Impairment to Transcendence-Growing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이병진(Lee Byung Jin)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5권 제1호, 321~35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전환적 공간들과 마주친다. 노화나 손상은 누구나가 겪는 이런 전환적 사건들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자아중심적 관점에서 보면 부정적인 사건들일지라도 자아초월적 관점에서 보면, 이런 전환적 사건들은 자아변형을 위한 기회들인 것이다. 인생의 전반기를 자아를 확고히 하는 시기라면, 인생의 후반기는 자아를 해체해 자아초월을 이루는 시기이다. 자아초월에 이르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아의 변형이 요구된다. 자아초월에 이르는 과정에서 수많은 전환적 공간들을 만나고 건너가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아는 붕괴, 분해, 그리고 융해라는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전환적 공간들은 미지의 공간이며, 온갖 불안과 두려움을 품고 있는 알 수 없는 공간이다. 이런 공간들은 자아방어의 표적이 되기 때문에, 자아의 변형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노화나 손상과 상실들은 자아가 두려워하는 자아가 아닌 공간 너머의 것들이기 때문에, 자아는 지금까지 자아가 아니었던 것과 직면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노화나 손상과 같은 인간의 실존은 자아의 변형 더 나아가서는 자아초월로 나아가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되는 것이다. 동일한 상황에 처하거나 동일한 위기를 경험하더라도, 어떤 삶의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매우 달라진다. 어려운 위기에 처해서 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자아초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삶의 태도가 중요하다. 자아수준, 실존적 수준, 그리고 자아초월 수준으로 자아가 변형되기 위해서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수용성, 마음챙김과 내려놓음, 그리고 알아차림과 내맡김의 자세가 요구된다. 노화와 손상과 같은 삶의 위기를 통해서만 자아변형과 성장으로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명상과 같은 영적수행을 통해서도 자아의 변형은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노화나 손상과 같은 위기를 통한 변형, 영적수행, 그리고 심리치료 등은 동일한 조건과 과정을 통해 자아변형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일상생활 속에서의 의식적인 삶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지금 이 순간에도 초월적인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하다. 자아초월적인 삶이 가장 이상적인 복지상태라면, 사회사업(복지)도 그것의 가치, 지식.기술체계에 이러한 사실을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ransitional spaces are opportunities where growth and change manifests through transcendence beyond what has existed in the past. There are many developmental transitions like aging, impairments, and situational transitions like losses and traumas and crises over the lifespan. Transformation usually follows a predictable pattern of transitions an ending, an intermediate zone, then a new beginning. The intermediate, transitional moments provide unique opportunities for immediate dramatic change; these are moments of potential transcendence. But the transitional space between the old and the new is usually guarded by ego defenses. To transform the ego to be transpersonal being, it is needed for us to be open to experiences, to let go, to be let it be in these transitional spaces. Then we can de-construct, deintegrate, and unintegrate the ego in the face of feeling afraid of loss, separation and death. On the way of transformation from the ego level to the transpersonal level, one should successively have attitudes of openness to experience and ego permissiveness, mindfulness and letting go, and awareness and letting it be. These living attitudes make for de-constructing the ego and ego deintegration, openness and ego permissiveness, and unintegration and the edge on ego disintegration. The transitional space between ego and existential selves is deintegration, in which unlearning must occur to allow for learning on a new level. Actually, the unlearning of deintegration occurs in every transitional space. The transition from the existential level to the transpersonal level requires the ego to occasionally unintegrate. The transitional space that opens one up is unintegration, in which the personality dips into formlessness for rest, tasting the state of unity which beckons us to move ahead into oneness and conscious non-existence. The process of deintegration occurs throughout the lifespan, and is essential for growth and development. Deintegration leads to an expansion of experience, a widening of consciousness, a deepening of self concept, an opening to a new identity, and thus to a new level of integration. However threatening it may be, the moment of transition, if brought to awareness, offers an opportunity for choice, for transcendence. Consciously created transitional space like meditation and active imagination can be a portal through which to enter transpersonal experience. In fact, the self is viewed as being constructed anew from moment to moment. To advance beyond the current constructed ‘self’, we must allow a partial and temporary deconstruction, and a reconstruction at a new higher level. To be from Age-ing to Sage-ing, it is needed to live consciously, to age with awareness, and to self-observe while-in 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자아초월의 개념과 한계
Ⅲ. 자아초월심리학과 자아초월적복지관
Ⅳ. 노화․손상 스트레스와 그 원인과 의미
Ⅴ. 노화․손상에서 초월․성장으로의 변형
Ⅵ. 영적수행과 노화초월
Ⅶ.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진(Lee Byung Jin). (2011).노화.손상에서 초월.성장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5 (1), 321-350

MLA

이병진(Lee Byung Jin). "노화.손상에서 초월.성장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5.1(2011): 321-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