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의 가족, 동료, 정신보건전문가와의 사회적 관계가 자기효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611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Family, Peer,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 on the Self-efficacy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박선영(Park, Sun-Young)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5권 제1호, 291~31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신장애인이 회복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심신건강을 보살피며 주변 자원을 활용하는 수행능력인 자기효능이 중요하고, 이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데는 가족, 동료, 정신보건전문가와의 유대를 비롯하여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검토되지 않은 사회적 관계의 다각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특히 각 구체적 대상과의 사회적 관계가 심리사회적 기능, 사회망 및 사회교류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며, 자기효능을 설명하는데 얼마나 더 기여하는지를 살펴보았 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460명의 정신장애인 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가족, 동료, 전문가와 긍정적,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모두 경험하고, 상대적으로 좀 더 높은 정도인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정신건강상태와 장애정도, 희망감, 대인관계능력, 의논할사람 수, 상호원조, 가족교류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가족, 동료, 전문가와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심리사회적 기능 변인을 중심으로 한 회귀모델이 자기효능을 설명하는 정도를 넘지 못했으나, 사회망 및 교류 변인들의 모델에 대해서는 유의한 설명력을 더하였다. 특히 동료관계의 설명력이 유의하였다. 셋째, 부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심리사회적 기능이나 사회관계와 교류 변인들 이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더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for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to recover, he/she needs to be able to execute the self in both taking care of the illness and utilizing social resources, and this self-efficacy can be strengthened and maintained by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relations with her/his family, peer,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t aspects of the social relationship that have not been examined in existing stud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those people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or social network and transaction,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family, peer, professional for the self-efficacy. Based on the data from 460 persons with mental illness residing in community, major findings were: 1) Participants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peer, and professional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and each of the state of mental health and disability, hopefulness, ability for interpersonal relations, number of confidants, level of mutual helping, family's social transactions. 2) The positive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with the family/peer/professional did not add an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ver and above the model with psychosocial functioning variables for the self efficacy, but added some explanatory power to the variables of social network and transactions. Especially, pe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3) Negative relationships did not contribute to the explanation for the self efficacy. Following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suggested.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문헌고찰
Ⅲ. 연구 질문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영(Park, Sun-Young). (2011).정신장애인의 가족, 동료, 정신보건전문가와의 사회적 관계가 자기효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재활복지, 15 (1), 291-319

MLA

박선영(Park, Sun-Young). "정신장애인의 가족, 동료, 정신보건전문가와의 사회적 관계가 자기효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재활복지, 15.1(2011): 291-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