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蘇頌 後使遼詩 注釋(Ⅱ)

이용수 27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류영표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37輯, 127~16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本文之重要注釋內容如下:<某奉使過北都, 奉陪司徒侍中潞國公雅集堂宴會。開懷縱談, 形于善謔。因道魏收有“逋峭難為”之語, 人多不知“逋峭”何謂。宋元憲公云: “事見≪木經≫, 蓋梁上小柱名, 取有折勢之義耳。” 文人多用近語, 而未及此, 輒借斯語抒為短章, 以紀一席之事。繕寫獻呈>: 詩題之“折勢”意味着折屋勢使屋頂下凹。第三句“自知伯起難逋峭”之“逋峭”意味着人之有風致。“逋峭”這個詞原本是指書法上平緩和險峻之勢,融合而成的一個獨特風格。<行次奚山>: 該詩的詩題, ≪蘇魏公文集≫的所有板本都寫着<次行奚山>, 而“次行”這個詞的意思是“次序”或者“第二行”, 但該詩題並不意味着蘇頌先行過某個地方, 再行過奚山。淸鈔本≪蘇魏公文集≫卷十三的卷首和≪全遼詩話≫, 則把該詩的詩題寫成<行次奚山>, 而“行次”意味着行路中達到某個地方。考慮到蘇頌創作該詩時情況, 該詩的詩題應爲<行次奚山>才對。<觀北人圍獵>: 蘇頌觀看契丹族圍獵的壯觀, 似乎覺得這種圍獵活動就等於軍事訓鍊, 因而産生了一種愁緖, 而這個愁緖表現在該詩七․八句的風景描寫裏。<契丹馬>: 對于詩題原注的“馵”這個詞, ≪易․說卦≫之孔疏解釋爲“馬後足白爲馵”, 但這種解釋在該詩裏並不通。這個“馵”應從≪玉篇≫和≪埤雅≫, 解釋爲“羈絆”才對。<廣平宴會>: 該詩的第六句表現着遼國臣僚對皇帝或者皇太后進獻生辰禮物的情況, 該生辰典禮應爲≪遼史․嘉儀≫之“皇太后生辰朝賀儀”或者“皇帝生辰朝賀儀”。

영문 초록

목차

(1. 前言)
2. 後使遼詩 28수 注釋
3. 주요 고찰내용 요약
4. 蘇頌의 시에 대한 평가
5. 蘇頌의 使遼詩의 가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영표. (2010).蘇頌 後使遼詩 注釋(Ⅱ).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37 , 127-166

MLA

류영표. "蘇頌 後使遼詩 注釋(Ⅱ)."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37.(2010): 127-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