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이용수 651

영문명
Reconsidering Chronological Sequence and Settlement Patter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임상택(LIM, Sangtae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0호, 2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 취락유적을 중심으로 자료가 급증하고 있는 서해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신석기시대 상대편년을 재검토하고 취락구조의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취락유적의 자료들이 서로간에 토기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점을 중시해 유적간 상대편년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크게 I 기(전기)에서 IV기(만기)에 이르는 4단계의 편년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서해중부지역 I기는 영종도 운서동 I, 대연평도 까치산 유적등으로 대표되며 전형적인 3부위시문 중심에 구연부 문양대가 좁고, 단사선문, 조문, 종주어골문 등의 문양을 중심으로 하는 시기이다(기원전 4000~3600년). II기는 크게 두 단계로 세분되며 전반은 저부 문양이 생략된 2부위시문이 유행하며 구연부 단사선문, 동체부 찰과상 다치횡주어골문이 유행하는 시기로 시흥 능곡유적으로 대표된다(기원전 3600~3400년). 후반은 서해안식의 동일계 횡주어골문이 등장하여 2부위 시문, 구연한정 시문 토기와 공반하는 시기이다. 삼목도 III유적으로 대표된다(기원전 3400~3100년). III기는 크게 세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엽은 단사선문이 잔존하나 동일계 횡주골문이 중심이 되는 시기이고, 중엽은 단사선문 등 구분문계 토기가 사라지고 동일계 단치횡주어골문이 중심이 되는 시기이다. 후엽은 동일계 어골문 내에서도 어골문 시문각도가 예각화되는 시기에 해당된다. 각 분기는 대체로 기원전 3100~2900년 2900~2600년, 2600~2300년에 해당된다. IV기는 아직 취락유적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동일문계 토기의 문양이 난삽화하고 무문양이 증가하는 시기이다(기원전 2300~1500년). 이상의 상대편년안을 기초로 서해중부지역의 취락구조의 특징을 검토해 본 결과,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한단계 더 이른 I기 후반에 이미 취락은 대규모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초기농경 수용시기가 기존의 생각보다 한단계 이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취락의 소규모화가 진행되는 III기에도 일부에서는 대규모 취락이 잔존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취락 배치에서도 중기 이전에는 기본적으로 구릉상에서 열상배치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후기가 되면 3동 내외의 주거지가 하나의 단위를 이루면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형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은 이제 매우 안정된 틀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기초해 이 지역 취락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patter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Based on the differences of potteries among settlement sites, studied area is divided into 4 phases(I~IV). Phase I is characterized by the potteries that have divisional design field (區分系) with design element such as Dansaseonmun(短斜線文), Jomun(爪文), vertical herring bone(縱走魚骨文) etc(4000~3600 B.C.). Phase II is divided into 2 sub–phases(early and late), and early sub–phase is characterized by the potteries that have divisional design field from top to middle with Dansaseonmun, Amsadong style scratched horizontal herring bone(擦過狀橫走魚骨文) etc(3600~3400B.C.). Late sub–phase witnessed on the appearance of west coast style horizontal herring bone without the division of pottery body(同一系). This design coexist with divisional one and design element such as dansaseonmun(3400~3100 B.C.). Phase III divided into 3 sub–phases(early, middle and late / 3100~2900, 2900~2600, 2600~2300 B.C. respectively). West coast style horizontal herring bone design have come to fashioned during the phase III but Dansaseonmun remains until early sub–phase. Middle and late sub–phases distinguished by the angle of horizontal herring bone design with more acute angle during the late sub–phase. Phase IV chracterized by the deterioration of design element and the increase of non–decorated potteries(2300~1500 B.C.). Based on this sequence, the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pattern examined especially focused on the size of settlement and distribution of houses within the settlement. From the examination, it is revealed that the large sized settlement considered to appear during the phase II already appeared during the phase I and lasted until phase III. This ma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ime of adoption of incipient agriculture earlier than we have thought. Distribution of houses within the settlement from phase I to II form a line(곢狀配置). But by the phase III, line distribution changed to sparse distribution of small units consisted of several houses.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a problem to be solved.

목차

Ⅰ. 머리말
Ⅱ.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 연구약사
Ⅲ.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 재검토
Ⅳ. 서해중부지역 신석기시대 취락 구조의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택(LIM, Sangtaek). (2010).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한국상고사학보, (70), 21-40

MLA

임상택(LIM, Sangtaek). "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한국상고사학보, .70(2010): 2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