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築造工程과 位階에 관한 硏究

이용수 478

영문명
A Study on the temple construction process and rank in Sabi period Baekj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혜정(Kim, Hye J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0호, 143~16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제 사비기 사찰은 특수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와건물지라는 큰 범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각각의 건물에 대한 개별 검토만이 이루어져 특성과 의미가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찰의 특수성을 검토하기위하여 건물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단 축조공정을 살펴보았다. 기단은 건물이나 탑 등 기타 이와 유사한 축조물의 지면을 일반 지면보다 높게 시설하거나 주위의 지면을 깎아내서 낮게 만든 것으로, 건물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단 축조는 일련의 공정에 따라 진행되는데 사찰 건립 계획이 세워지면 입지에 따라 삭토와 성토를 통해 대지조성이 이루어지고, 건물이 들어설 부분에 대하여 굴광판축, 지상성토, 지상삭토의 방법으로 기단토가 구축된 후 외장을 시설하게 된다. 기단 외장은 재료에 따라 석축기단, 와적기단, 전적기단으로 분류되며, 이는 축조 방식에 따라 다시 세분된다. 이렇게 구축된 기단은 형태에 따라 단층기단과 이중기단으로 나뉜다. 백제 사비기 사찰은 다양하게 구축된 건물지들의 기단 양식 조합에 따라 5등급으로 나뉜다. 1등급 미륵사지, 2등급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제석사지, 3등급 금강사지, 부소산폐사지, 4등급 오합사지, 5등급 군수리사지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사찰은 그 위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즉 기단의 축조공정은 사찰의 격과 조영주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a particular place, it has been studied in a large category called tile–capped building, and its character and meaning were not shown because individual examination on each building was only performed. Therefore it examined the temple through construction process of platform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ndispensable. The platform's ground of building or pagoda etc. including similar building was used to be constructed higher than general ground or built low by cutting surrounding ground, and the platform constructed in the base of building had a role to support weight of superstructure. Construction of the platform is progressed through certain course, it makes land by cutting and building land in accordance with its location when plan for building the temple is set up, and it constructs exterior of platform through digging and building land, building land on the ground, cutting land on the ground after platform ground is established. According to its material, exterior of platform is classified into stone–built platform, tile–capped platform and brick–built platform, and this is subdivided again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construction. The constructed platform after certain course can be classified into one–storied platform and double–storied platform according to its shape.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classified into first grade, Mireuk temple site, second grade, Neungsanria temple site, Wangheung temple site, Jeseok temple site, third grade, Keumkang temple site, Busosanpye temple site, fourth grade, Ohap temple site and fifth grade, Kunsoori temple site according to the way of construction of the platform. The temple classified like that shows difference on its rank. In other words,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latform reflects class of the temple and its builder.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찰 건물지 평면배치 검토
Ⅲ. 기단부 축조공정
Ⅳ. 건물지별 기단의 특징
Ⅴ. 사찰의 위계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정(Kim, Hye Jung). (2010).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築造工程과 位階에 관한 硏究. 한국상고사학보, (70), 143-167

MLA

김혜정(Kim, Hye Jung). "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築造工程과 位階에 관한 硏究." 한국상고사학보, .70(2010): 143-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