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이용수 1284

영문명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Lineage of Shilla Old Style Roof–End Tiles in Gyeongju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崔英姬(Choi Yeong– hee)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0호, 99~14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의 목적은 慶州地域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을 검토하고 신라 造瓦技術의 系統을 파악하는 데 있다. 특히, 와당문양의 형식구분과 그 해석이 중심을 이루었던 지금까지의 연구경향과 시각을 달리하여, 제작기법의 분석을 통해 기술계통을 구분한 뒤 각 계통에 속하는 문양의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성형의 도구인‘瓦范’과 ‘수키와接合技法’에 주목하였다. 瓦范은 실자료의 확보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동아시아 각지에서 확인된 사례를 통해 신라 수막새 제작에 사용된 외범의 형태를 豫察하였다. 수키와 접합기법은 Ⅰ(圓筒接合後分割法), Ⅱ(수키와加工接合法), Ⅲ(수키와被覆接合法), Ⅳ(수키와揷入接合法)기법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해당되는 同范단위의 개체를 확인해나가면서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접합기법의 차이는 각각 古式수막새의 技術系統으로 설정된다. 각 계통에 대해 살펴본 결과, Ⅰ, Ⅱ, Ⅲ기법으로 대변되는 기술계통의 연원은 모두 백제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고구려 기와와는 유사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즉, 신라에서 古式수막새가 제작, 사용되었던 6~7세기의 약 200년간은 백제로부터 수막새제작법 혹은 그것을 포함한 造瓦技術이 여러 기법과 문양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신라에 전해지고, 技術系統을 달리하는 복수의 기와제작집단이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가운데에도 Ⅲ기법과 원통형와통성형법을 구사하였던 기술계통이 가장 큰 규모를 이루면서 경주 내 기와생산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문양계통을 기와의 기술계통과 동일시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으며, 보다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Shilla Old Style roof–end tiles manufactured and used in Gyeongju for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figure out the lineage of Shilla’s tile manufacturing technology. Taking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previous research trends that placed a priority on the formalization of patterns, the study analyze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categorized the technological lineages, and reviewed patterns of each technique.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two technological elements, namely mold of roof–end tile(Wabeom; tool) and connecting method(manufacturing technique). As for Wabeom, the actual cases from all over East Asia were applied to the Shilla roof–end tiles. Meantime, the connecting methods with the convex roofing tiles were categorized into Ⅰ(圓筒接合後分割法), Ⅱ(Round Tile 加工接合法), Ⅲ(Round Tile 被覆接合法), and Ⅳ(Round Tile 揷入接合法). Through those analysis efforts, the study assumed that Shilla introduced Baekje’s diverse technological lineages at different times to make roofing tiles and that there were various echnological lineages present in the roofing tile manufacturing system before Unified Shilla with some differences in size. It is emphasized that each technological lineage and their pattern lineages suggested before are not the same always and that the roofing tile technologies and patterns are not the same in terms of change and period. In other words, it is rather far–fetching to regard the lineage of technologies and pattern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same light since changes to pattern styles do happen within the same technological lineage.

목차

Ⅰ. 머리말
Ⅱ. 瓦范 復元을 위한 豫察
Ⅲ. 古式수막새 接合技法의 區分과 分析
Ⅳ.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英姬(Choi Yeong–,hee). (2010).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한국상고사학보, (70), 99-142

MLA

崔英姬(Choi Yeong–,hee).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한국상고사학보, .70(2010): 99-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