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한~당 고분벽화와 지역문화

이용수 622

영문명
Tomb Murals of Chinese Han to Tang and Regional Cultur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전호태(Hotae Jeo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3집, 155~20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분벽화는 전한시대에 장의미술의 한 장르로 성립되어 점차 널리 받아들여져 후한 후기에는 지역문화와 결합하여 지역에 따른 색채가 입혀지기도 했다. 황하 중하류의 평야지대에는 화상석.벽화묘가 출현하는 것도 이를 알게하는 좋은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삼국 및 위.진시기를 겪으면서 고분벽화는 변경지대로 전해져 새로운 문화중심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로 기능하고 인식되기도 한다. 동북의 요녕 요양지역과 서북의 감숙 하서회랑지대는 이 시기 벽화고분 및 화상전벽화묘 출현의 중심이기도 하고 북중국에 새로 형성된 두 곳의 문화중심이기도 하다.그러나 북중국의 5호 16국시대가 마무리 되고 남북조시대가 열리자 고분벽화는 왕실, 귀족층을 위한 장의미술로 받아들여져 왕조의 수도권에서만 제작된다. 북조 후기의 동위.북제의 수도 업성 일대가 고분벽화 문화전통을 다시 일으키는 중심부로 떠올랐던 데에서도 이런 경향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런 흐름은 통일왕조 수,당으로 이어진다.당의 장안이 세계제국의 거대수도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중국에서는 문화중심과 주변의 관계가 고착되는 듯한 현상이 나타난다. 고분벽화 제작의 중심과 주변의 관계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잘 나타난다. 장안지구를 중심으로 한 고분벽화 제작의 전성기는 성당기이다. 중당 및 만당기에는 장안지구는 문화적 구심력을 잃기 시작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문화적 독자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데, 벽화고분 분포에서도 이런 흐름이 확인된다.

영문 초록

Tomb murals were established as a particular genre of funerary art in the Early Han(前漢) period and gradually became popular. During the end of Late Han(後漢) period, tomb murals came to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reflecting regional culture. One of the good examples are the appearance of Stone relief and mural tombs in the plains of mid-lower stream of Yellow River. As China went through the Three Kingdom and Wei·Chin(三國魏晋) period, tomb murals were introduced to border regions. As a result, tomb murals work and are seen as part of the new cultural center. Liaoyang(遼陽) region at Liaoning in the northeast and hehsihuilang(河西回廊) region at Gansu of northeast are the new cultural center of the northern China and also the flourishing center of mural tombs and Brick paintings & mural tombs. By the time Sixteen Kingdoms(16國時代) ended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南北朝) arose, tomb murals were accepted as funerary art for royalty and aristocracy and were created only in the region around the capital. It was because of this that Upseong(鄴城) region, the capital of Eastern Wei(東魏) and Northern Qi(北齊), became the center of tomb mural renaissance. Such trend continues to the Sui(隋)and Tang(唐) Dynasties. As Chang'an(長安) grew as the capital of international empi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center and the provinces became fixed. Such trend is also visi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tomb mural production and the provinces. The golden age of tomb mural production centered around Chang'an is the period of prosperity of Tang(盛唐期). During the middle & twilight period of Tang(中唐期, 晩唐期), Chang'an region begins to lose its power as the cultural center, and some regions begin to establish their unique culture. The distribution of mural tombs reflect such change as well.

목차

Ⅰ. 머리말
Ⅱ. 벽화고분의 조사와 분포 현황
Ⅲ. 지역문화와 고분벽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호태(Hotae Jeon). (2009).중국 한~당 고분벽화와 지역문화. 역사문화연구, 33 , 155-202

MLA

전호태(Hotae Jeon). "중국 한~당 고분벽화와 지역문화." 역사문화연구, 33.(2009): 155-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