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냉전시기 분단국에서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이용수 599

영문명
The national and social role of the archives in the divided countries during the cold war era: centered on the comparative view of the West German and South Korean archival history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노명환(Noh, Meung-Hoa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2집, 215~24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9년에 설립된 독일 제국아카아브 (Reichsarchiv)가 포츠담에 있었고 포츠담은 소련 점령지역, 후에 동독에 속했기 때문에 제국아카이브는 고스란히 독일민주주의공화국 (동독)의 소유가 되었다. 이는 독일에서 국가의 분단과 함께 기록관리 제도의 분단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는데 극히 불평등하게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그리하여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은 제국기록관의 모든 기록들을 상실한 나라로서 출발하였다. 1949년부터 산출되는 정부 기록들을 관리해야 할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한 서독은 1952년 연방 수도 본 (Bonn)에서 가까운 코플랜츠 (Koblenz)에 독일연방기록관을 설립했다. 따라서 이 아카이브는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의 건국 이후 생산되고 있는 기록들을 이관 받는 작업을 할뿐 그 전의 기록들을 보유하지 못한 채 출발하였다. 서독과 동독의 기록관들은 1961년 베를린 장벽 설치이전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서독은 어렵게 환수한 기록들 그리고 새로이 수집된 기록들을 토대로 1950년대 말부터 탈나치화 작업을 펴나갔다. 동서독 간에 기록교류를 추진했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함으로써 얻게 된 해방의 공간에서 한국인들은 기록관리 제도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했고 과거의 빛났던 기록관리 전통에 대해서도 무지한 채 당면한 생존과 이념의 격랑에 휩싸이게 되었다. 분단된 상황에서 한국의 지도자들은 정보원으로서 기록이 상대방에게 접수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기록보존에 대해 매우 불안한 생각을 갖게 되었다 즉 한국에서는 기록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앞으로 발생할지 모를 전쟁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했다. 전쟁이 발생할 때에 기록 정보가 적 (북한)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리하여 기록의 폐기 또는 보존기간 축소 그리고 분산 보존이 제도적으로 자행되었다. 독재시대가 또한 기록관리의 장애가 되는 시기였다. 따라서 민주화와 남북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점이 또한 한국의 기록관리가 제대로 발전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rchives of the German Reich were established at Potsdam in 1919. Between 1945 and 1990 Potsdam belonged to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or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East Germany). S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West Germany) founded Bundesarchiv in Koblenz in 1952. From the late 1950s the returned records and archives which had remained in Germany were used as evidence for investigations against Nazi criminals. The archives of West Germany and East Germany tried to promote to exchange the dispersed record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ntinued to keep the archival practice of the Colonial Chosun Government General. Generally people did not realize well the importance of the archival being in the South as well as in the North. In this backgrou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glected to develop the archival system and the documents were not able to be preserved systematically. Many documents of the colonial era were taken away by Japan and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The records of the occupation era by the USA military government were brought to the USA. The people and the new South Korean government were not enough conscious to come to the idea to bring back these documents. Many people carried fears against their activities in the colonial era and tried to abrogate those documents. The investigations against the past evil-doings, namely the decolonializat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 archives could not be successful. The Korean War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ccurred in 1950 and lasted for three years. After the war experience, many people tried to abrogate the documents produced during the war. The strongest anti-communism and the extreme hate against the North and the fear for the revival of the war dominated the socie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ame to the even more desperate ideas to preserve the documents dispersed to various regions and possibly abrogate them. The year 1987 signified the time of the epochal transformation towards the democracy of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civil movement to establish an ordinary national central archives and other various kinds of archives started from this period. The people found out the necessity of the archival system to keep the transparent society as the essential basis for the democracy.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e South and North began to develop the earnest dialogues in some sense. The endeavors for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elped also the developments of the Korean archival system.

목차

Ⅰ. 서 문
Ⅱ. 독일연방공화국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Ⅲ. 대한민국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명환(Noh, Meung-Hoan). (2009).냉전시기 분단국에서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역사문화연구, 32 , 215-249

MLA

노명환(Noh, Meung-Hoan). "냉전시기 분단국에서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역사문화연구, 32.(2009): 215-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