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공정성과 조직구성원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성별과 통제위치의 조절효과

이용수 835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dividual Outcomes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이도화(Lee, Do-Hwa) 이종법(Lee, Jong-Bub)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17권 제2호, 121~13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직공정성은 최근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조직공정성에 대한 반응이 모든 조직구성원의 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할 것인지에 대 한 관심은 상당히 부족한 실정 이다, 소수의 선행연구에서 조직공정성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구성원의 성별에 따라 다를 것 이라는 조절효과 가설을 검증한바 있으나, 그 외 다른 변수를 조절변수로 검토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 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결과변수 사이의 관계를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조직구성원의 성별과 통제위치를 조절변수로 채택 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 해 총 167~ 회사와 기관의 근로자 300명 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설문지 215부에 대해 계층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 지각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위가 높고, 이직의도는 낮았다 둘째, 성별은 조직공정성 -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위치는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선행연구가 부족한 조직공정성의 영향에 대한 성별과 통제위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것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를 결론부분에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actively studied, there has been a dearth of concern regarding whether the response to organizational justice would be similar regardless of traits of affected individuals. A few previous studies have delved into the role of gende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utcome variables. However, there is nearly no empirical study which considered other trait variable as a moderator. Thus, this study selected gender and locus of control as moderators and tested moderator hypothes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utcome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urvey was conducted upon a total of 300 employees from 16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215 usable sample show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second, gender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locus of control was also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ct that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locus of control is considered meaningful, since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on this issu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have been presented in the conclu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도화(Lee, Do-Hwa),이종법(Lee, Jong-Bub). (2010).조직공정성과 조직구성원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성별과 통제위치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7 (2), 121-137

MLA

이도화(Lee, Do-Hwa),이종법(Lee, Jong-Bub). "조직공정성과 조직구성원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성별과 통제위치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7.2(2010): 121-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