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벨라루시의 정치권력과 정치체제변화

이용수 201

영문명
Changing Political Power and Political System in Belarus : Focused on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National Ideology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박정호(Park, Joung-Ho)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11권 제2호, 273~3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1년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신생주권국 벨라루시 지도부는 국민통합과 영토의 단일성 보존을 위해 국가통치이념을 확립해야 했다. 독립 초기 슈슈케비치 정권은 민족주의 국가통치이념을 바탕으로 중립국 벨라루시 건설구상을 표명하면서 서방국가들과의 협력관계 구축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민족주의 국가통치이념이 국민적 신뢰를 확보하지 못했던 까닭에 1994년 권좌에 올랐던 루카센코 대통령에 의해 전격 폐기되었다. 그는 전임자였던 슈슈케비치와는 달리, 자신의 정권안정과 경제발전을 목표로 소비에트 국가통치 이념을 더욱 선호하면서, 친 러시아 정책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독립이후 현재까지 벨라루시 주민들은 대체적으로 민족주의 버전과 소비에트 버선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국가통치이념에 큰 영향을 받아왔다 민족주의 통치이념의 지향 점으로는 독립국 벨라루시 건설, 경제개혁정책의 추진,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 조성, 모든 국가들과 호혜 평등관계 구축, 밝은 미래 기대 미래의 불확실성 인정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해, 소비에트 통치이념의 경우 슬라브 민족들의 연합국가 건설, 소비에트 사회 경제체제 유지, 러시아와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황금 과거 예찬, 소비에트 체제의 안정성 등을 강조했다. 벨라루시 주민들은 소비에트 통치이념을 절대적으로 지지했는데,이는 벨라루시의 사회 경제여건, 주민들의 관용성, 소비에트 체제에 대한 긍정적 사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바로 이러한 점이 다른 탈 소비에트 국가들과 차별화되는 벨라루시의 본질적 특성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2000 년 이후 러시아와 벨라루시 간에 국가연합 건설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벨라루시에서 새로운 변화들이 발생하였다. 루카센코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벨라루시의 국가주권 강화작업과 고유한 민족 정체성 복원노력을 기울여 나가고 있다. 또한 외교정책 측면에서도 유럽에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그루지야 전쟁에서도 중립을 지키는 등 친 러시아 정책 추진에 있어서 속도 조절을 모색하였다 최근 벨라루시 지도부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경제개혁정책의 추진을 약속하기도 했다. 결국 벨라루시의 국가통치이념은 독립이후 국가건설과정에서 정권의 정통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었을 뿐 아니라, 벨라루시 정치권력과 정치체제의 변화를 초래하였던 핵심 변수였다고 정의할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xplore changing political power and political system in Belarus, focusing on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national ideology In contrast to other post-soviet states, two(national and soviet} versions of national ideology have been advanced in Belarus. The main goals of national version were the building of independent state, based on belarusian culture and language. Soviet version was main national ideology under Lukashenko’s regime. The important objectives of this version were creation of slavic unity‘ utilization of soviet economic system, maintenance of social equality. In this context. Lukashenko’s government made an effort to establish national ideology. based on soviet identity until 2000. But Lukashenko began to emphasize the need to maintain Belarusian statehood and sovereignty after Putin proclaimed that incorporation of Belarus into Russia was the only feasible route for integration. So MIinsk has looked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west. Finally, national ideology played a most important role in changing political power and political system of Belaru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쟁점
3. 슈슈케비치 정권의 국가통치이념
4. 루카쉔코 정권의 국가통치이념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호(Park, Joung-Ho). (2009).벨라루시의 정치권력과 정치체제변화. 동유럽발칸학, 11 (2), 273-300

MLA

박정호(Park, Joung-Ho). "벨라루시의 정치권력과 정치체제변화." 동유럽발칸학, 11.2(2009): 273-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