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초기 불상의 기능과 그 의미

이용수 438

영문명
The function and meaning of images of Buddha in early Korea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지강이(Kang-yi Ji)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43~5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우리나라 초기 불상 즉 7세기 대의 불상 중 향로가 표현된 불장을 통해 당시의 신잉생활을 추정해 본 것이다 7세기 대의 불상은 주로 반가사유상올 본존으로 하고, 공양자 숭려 동은 모두 병향로는 쥐고 있는 것이 특정이다 반가사유상은 미륵상일 가능성이 높고, 명문 둥을 통해 본 결과 당시 이들 불상들은 미륵신앙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미륵신앙과 병향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병향로는 맹세를 하거나 기원을 말하는 ‘誓願’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미륵신앙은 서원을 세워 도솔천에 태어나기를 바라지만 이는 자신의 노력,즉 마음을 깨끗이 하여 십선행을 해야만 이뤄지는 것이 특정이다. 따라서 개인의 노력과 적극적인 공양 또는 서원을 세울 필요가 있는 미륵신앙 생활에 있어서는 병향로가 필요하며 이러한 통기 때문에 병향로가 불상과 함께 표현되었다고 추정된다. 그러므로 미륙상에서의 병향로의 표현은 미륙신앙에서의 도솔천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서원의 표시이며, 개인적이고 적극적인 공양자의 모습을 대변하여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owes religious lives throuth images of Buddha with an incense burner in the 7th century. Pensive images of Buddha its legs haJf-crossed(半跏思惟像) was images of svadeva and persons who give alms to Buddhist temple and Buddhist monks seized an incense burner in the 7th century. Pensive images of Buddha its Iegs haIf-crossed(半跏思惟像) must have been images of Maitreya. It was confirmed that BuddhaS were related to Maitreya-Faith throuth epigraphs. Therefore the relation of Maitreya-Faith and an incense burner was studied. In result, an incense burner was used 10 pray an oath and a desire, In Maitreya-Faith, it was wanted to be bom in paradies(兜率天), which is feature 10 be realized if one would do a good deed. One’ s effort, offering to Buddha and building the memorial hall was needed in lives. of Maitreya-Faith. SO images of Buddha with an incense burne was expressed for such religious lives. so an image of Maitreya with an incense burne is symbol of the desire to be born in paradaise(兜率天), which is regarded as the preivate and positive person who gives alms to Buddhist temple.

목차

I. 머리말
II. 예배상에 나타나는 향로 - 장천 1호분 예불도
III. 우리나라 초기 불상에 표현된 향로의 예
IV. 미륵신앙과 향로와의 관계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강이(Kang-yi Ji). (2009).우리나라 초기 불상의 기능과 그 의미. 인문사회과학연구, 10 (1), 43-58

MLA

지강이(Kang-yi Ji). "우리나라 초기 불상의 기능과 그 의미." 인문사회과학연구, 10.1(2009): 4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