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

이용수 219

영문명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Cylinder-type Earthenware Found in the Middlewest Are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상엽(Lee, Sang-Youp)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1輯, 161~19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반도 중서부지역인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유적에서 출토된 원통형토기와 기존 한반도에서 출토된 원통형토기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원통형토기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원통형토기는 기존 낙랑토성지 및 호남지역에서 출토되었으며, 명칭만이 동일할 뿐 외형상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글에서 규정한 원통형토기는 높이 30~40cm 내외이며, 형태는 저부의 경우 평저이고 경부나 구연부의 성형없이 동체부 중앙에서 저부쪽 및 동체 상단부로 외반되어 마치 장고모양의 형태를 띠고 있다. 중서부지역에서 출토된 원통형토기는 대부분 분묘유구에서 확인되며 분묘의 형식에 차이가 있으나, 매장주체부가 토광묘라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한편 아산 갈매리유적 출토품은 생활유적임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목적에 의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작기법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윤적법을 이용하여 동체부를 성형하고 있어 낙랑토성지 출토품과 동일하지만, 분리 및 정면기법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어 낙랑지역 출토품 및 낙랑계토기와의 직접적인 연결은 어려운 듯 하다. 원통형토기는 대각의 유무에 따라 Ⅰ식과 Ⅱ식으로 구분하였고, 대각 및 투공 등의 세부적 차이를 통해 Ⅰ식은 6가지 형식으로 Ⅱ식은 5가지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이와 같이 구분된 원통형토기는 일상생활용기로써의 기능과 의례용기로써의 기능을 상정하였고, 구분된 형식 중 Ⅰ-B-a-ⓑ-②형식을 제외한 Ⅰ·Ⅱ형식 모두가 의례용기로써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linder-type earthenware that were found in Bakjimoore Relic Site, Myungam-ri, Asan City, which is the middlewest area of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earthenware found in Korea. The cylinder-type earthenware had been found in Nakrang Earthen Fortress site and Honam Area in the past but they showed many differences in appearance with those in this study, though they were referred in the same name. The earthenware stated in this study are 30-40cm in height and the bottom part was plain. Without any mold in upper part, they were concave from the center to the bottom and to the upper part, which is similar to an hourglass. The cylinder-type earthenware had been found in Nakrang Earthen Fortress site and Honam Area in the past but they showed many differences in appearance with those in this study, though they were referred in same name. The earthenwarestated in this study are 30-40 cm in height and the bottom part was plain. Without any mold in upper part, they were concave from center to bottom and upper part, which is similar to an hourglass. As for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earthenware, the bodywas made by accumulating the earthern rims to the top. It is similar to those found in Nakrang Earthen Fortress site but showed difference in separation and thinning technique, which is hard to connect with the relics found in Nakrang area and Nakrang-line earthenware. The cylinder-type earthenware are classified into I-type and II-typ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legs at the bottom of the ware. Depending on the detailed difference in legs and presence of pores in the leg, I-type can be sub-classified into 6 forms and II-Type is sub-classified into 5 forms. As classified accordingly, the cylinder-type earthenware have the functions of daily livingware and the ware forritual things. Among the forms, it was assumed that all of I and II type ware were used for ritual things except for Ⅰ-B-a-ⓑ-② form.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硏究 및 出土 現況
Ⅲ. 圓筒形土器의 製作 技法 및 形式 分類
Ⅳ. 性格 檢討
Ⅴ.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엽(Lee, Sang-Youp). (2009).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 선사와 고대, 31 , 161-196

MLA

이상엽(Lee, Sang-Youp). "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 선사와 고대, 31.(2009): 16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