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안학교의 제도화 과정과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이용수 419

영문명
A Discussion on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al Direc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김회용(Kim, Hoy-Yong)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19집,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법제화를 앞둔 한국 대안학교의 제도적 정착과정 반성과 법제화 방향 모색에 목적을 두었다. 비인가 형태로 운영되던 한국의 대안교육은 1998년 특성화학교 법과 자율학교 법의 시행으로 다소의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정규 교육으로 편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두 법안의 통과로 인해 대두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어려움, 교사발령으로 인한 교사분리, 대안초등학교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2005년 대안학교 법이 통과되고, 2006년 3월 시행을 목표로 시행령을 준비하게 되었다. 그러나 법제화 팀이 마련한 ‘대안학교 설립․운영 규정(안)’의 시행 시기는 여전히 미지수로 보인다. 법제화 필요성과 학력인정 여부, 시설시준․교사자격․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등의 인가기준, 재정지원 범위 등과 같은 핵심 문제 해결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안)’의 일부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법안 마련의 본질적 취지가 대안교육 지원에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대안학교 설립인가 규정의 엄격한 적용, 교사자격 관련 조항의 탄력적 운영, 교육과정 조항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등이 법안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discussed on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al direc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are increased because of the unsatisfactory results of public education and the provisions for alternative schools in 'elementary, secondary educational law', such as specialized school and regulation-free school. And the Presidental Decree for alternative schools is preparing presently. But there is in a controversy with the proposals by scholars, centering around the criteria for permitting to found alternative schools, the extent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alternative schools and the necessity of legaliz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The suggestions to legalize alternative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visions related with founding alternative schools are to be applied strictly to prevent founding a pseudo-alternative school for person profits. Second, the provisions related with qualifying for teaching are to be applied flexibly to recruit competent teachers suitable for the object of an alternative school. Third, the provisions related with the curriculum of an alternative school are to be complemented institutionally to qualify management of curriculum in an alternative schoo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회용(Kim, Hoy-Yong). (2006).대안학교의 제도화 과정과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교육사상연구, 19 , 1-22

MLA

김회용(Kim, Hoy-Yong). "대안학교의 제도화 과정과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교육사상연구, 19.(2006):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