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수 7번 완전손상 척수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보조도구가 휴대폰 사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07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using on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for C7 complete injury person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조병모(Cho, Byeong Mo) 강필(Kang, Pil) 신영일(Shin, Young Il) 임호용(Lim, Ho Yong) 김수희(Kim, Su He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1권 제1호, 151~1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보조도구가 경수 7번 완전손상 장애인의 휴대폰 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경수 7번 완전손상 장애인 6명으로 하였으며 , 4가지 타입(C , D , J , U)의 휴대폰 보조도구를 사용하였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발신 , 수신 , 문자발신에 대한 시간을 측정 하였다. 측정결과 보조도구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착용하였을 때 착신과 발신 , 문자발신에 대해 시간측정을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신에서는 U자형(P=0.011)이 가장 빨랐고 , D자형(P=0.778)에서 가장 느렸다. 두 군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착신에서는 U자형 (P=0.009)이 가장 빨랐고 , D자형(P=0.331)에서 가장 느렸다. 문자발신 시간에서는 J자형(P=0.002)이 가장 빨랐고 , D자형(P=0.829)에서 느려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J자형과 U자형이 경수 손상자의 휴대폰 사용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수 손상자의 휴대폰 사용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세분화된 보조도구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using on 4 type different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for C7 complete injury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of C7 complete injury persons. Four type of the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C, D, J, U, were used in this study. Each data of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was collected by measuring of sending, answering, and writing speed and analysed with SPSS 11.0. The measured result according to 4 type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in sending speed showed that a U was P=0.011 as the highest performance and D type was P=0.778 as the lowest performance. The sending speed through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e measured result according to 4 type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in answering call showed that a U type was P=0.011 as the highest performance and D type was P=0.331 as the lowest performance. The answering call through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e measured result according to 4 type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in showed writing that a J type was P=0.002 as the highest performance and D type was P=0.829 as the lowest performance. The writing through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J and U type seems to be the most efficient among four type of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s for C7 complete injury persons. In the future use of the U type and J type mobile phone assistant device should be needed much more stud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 정보화 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분석
-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척추손상장애인의 사회통합 영향요인
- 구축된 어휘정보를 이용한 정보통신 보조기기용 문장생성에 관한 연구
- 장애체험활동 후 "또래인터뷰 보고서 작성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 초등학생의 수용성 태도와 활동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노령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농어촌 장애인들의 교육실태와 차별경험
- 경수 7번 완전손상 척수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보조도구가 휴대폰 사용에 미치는 효과
- 색각이상자를 위한 ICC 프로파일과 프로파일 적용도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