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오(好惡) 개념의 도덕심리학적 분석

이용수 611

영문명
The Concept of Hào wù 好惡 (Desire and Aversion or Liking and Disliking) in the Analects:Centering on Its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Knowledge and Action in Confucius' Ethical Thought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김명석(Myeong-seok Kim)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31輯, 95~1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7.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양한 비도덕적 선에 대한 욕망을 생래적으로 지니고 태어나는 인간이 올바른 욕구와 혐오의 대상에 대한 앎 혹은 판단을 어떻게 실천에 옮기게 되는가 하는 문제는 도덕심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고대 유가철학의 근원적 문헌인 『논어』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공자는 인간을 1)도덕적 이해능력은 없지만 윗사람의 덕을 알아보고 도덕적 선과 악에 대한 윗사람의 호오를 모방할 수 있는 수동적인 도덕적 능력을 지닌 소인(小人), 2)도덕적 삶이 자신의 사적인 이익 추구와 관련하여 가지는 도구적 가치 때문에 도덕적 삶에 매력을 느끼는 지자(知者), 그리고 3)도덕의 실천을 그 자체로 즐겁고 편안한 일로 여기며 곤궁한 상황 속에서도 시서예악의 학습을 통한 덕의 함양에 즐거워하는 인자(仁者)의 세 유형으로 나눈다. 이 중에서 인자, 혹은 완벽한 도덕적 수양을 거친 군자의 호오는 1)도덕적 선 혹은 옳음이 그 자체로 가치 있고 추구할 만한 것이라는 앎 혹은 인식을 그 자체 안에 포함하고 있고, 2)이러한 군자가 도덕과 다른 대상들에 대해 지니는 상대적인 선호(好)의 강도는 그에게 있어 도덕이 다른 어떤 가치 있는 대상들보다도 우선적인 중요성을 지니는 존재라는 것을 함축한다는 특징을 지니는데, 이러한 군자의 이상적 호오는 군자의 마음속에 여전히 남아 있는 비도덕적 선(善)에 대한 욕망(好)에도 불구하고 군자로 하여금 도덕적 규범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며 이의 실천을 진정한 기쁨의 원천으로 여길 수 있도록 해준다.

영문 초록

How does a human being, who is born with desires for various kinds of non-moral good, deal with such desires and successfully put into practice his judgment of what the right desire to act on, or the right thing to do, is in an ethical situation? This is not only a crucial question in moral psychology in general but also an important philosophical issue in Confucius' Analects in particular. Confucius divided human beings into three types of people in terms of moral motivation: 1) xiǎorén (“the commoners”), who are thought to lack any deep moral understanding but is capable of recognizing the virtue of their social superiors and emulate their emotional responses toward moral good and evil; 2) zhīzhě (“intelligent people”), who are attracted to morality primarily for the usefulness of pretending to be moral in pursuing their personal interests; and 3) rénzhě (“benevolent people”), who find intrinsic pleasure and comfort in the moral way of life and who continue on the project of their moral self-cultivation undauntedly through all kinds of hardship. Among these three types of people, the benevolent person or the nobleman of perfect moral cultivation is distinguished by his emotional responses of hào wù (desire and aversion, or liking and disliking) that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nobleman's affective responses of hào wù at various things embody his understanding that moral good or rightness is an object of intrinsic value which should be pursued for its own sake, and 2) the order of priority among morality and other valuable things in his mind is proportionate to the more or less degrees in which he likes morality and other things respectively. This explains ins how the highly cultivated nobleman can consider morality as having top priority over other things of value and consider moral life as the source of highest pleasure despite the potential temptations from his desires for various kinds of non-moral good.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규제대상으로서의 호오와 수양의 필요성
Ⅲ. 소인(小人)의 호오, 도덕적 카리스마, 그리고 모방의 덕(德)
Ⅳ. 도덕적 동기의 두 가지 원천: 지자(知者)의 이로움과 인자(仁者)의 즐거움
Ⅴ. 도덕적 앎, 군자의 호오, 그리고 도덕적 실천
Ⅵ.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석(Myeong-seok Kim). (2009).호오(好惡) 개념의 도덕심리학적 분석. 동양철학, 31 , 95-121

MLA

김명석(Myeong-seok Kim). "호오(好惡) 개념의 도덕심리학적 분석." 동양철학, 31.(2009): 95-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