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일성[同]”과 “배타적 차별성[不和]”의 문맥에서 본 맹자(孟子) 철학의 구조

이용수 36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김상희(金相姬)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31輯, 123~15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7.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맹자철학은 중원을 비롯한 고대 중국이 춘추시기에서 전국시기로 접어들면서, 중앙집권적국가의 통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탄생하였다. 전국시대는 국도 중심의 사방(四方) 경계적 질서가 ‘천하’적 국가라는 거대한 틀로 틀짜기를 시도했던 시기인 것이다. 당시 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맹자 역시 중앙집권적 군주의 천하통일을 위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제시한 사상가였다. 그는 정치론, 사회-경제론, 인성론의 방면에서 공문유학을 수정하여 새로운 유학적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맹자철학의 구조를 앞의 세 방면에서 탐색해 보았다. 그런데 특히 맹자는 <동일성>과 <배타적 차별성>이라는 두 가지 기제를 통해 자신의 철학을 구조화하였다. 정치 공간에서는 天下ㆍ中華(華夏)라는 동일성과 華/夷ㆍ四海의 안/팍ㆍ중심/변방ㆍ인간/금수’와 같은 배타적 차별성의 개념을 사용하였으며, 인성론의 측면에서는 聖人과의 同類ㆍ性善ㆍ情과 같은 동일성과 性/情/欲이라는 배타적 차별성을, 그리고 사회-경제적 방면에서는 최고의 도덕적인 성인이나 문화적 인물들(역아, 자도, 사광)과의 同類ㆍ同耆ㆍ同美ㆍ同聽이라는 동일성과 군자/야인ㆍ노심자/노력자ㆍ工師/匠人/工人 등과 같은 배타적 차별성의 개념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동일성>과 <배타적 차별성>은 표준[正]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표준에 대한 접근도에 따라서 사회적 위계구조를 형성시킨다. 그것은 통치와 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한 사회적 구조이며, 중앙집권적 권력 국가의 형태와 부합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경우, 맹자의 철학은 공자가 갈파한 ‘同而不和’의 면모를 보여준다. <동이불화>의 태도는 ‘흡수’와 ‘패권’의 논리이다. 이에 비해 ‘和而不同’의 태도는 ‘자율성의 존중’과 ‘평등한 어울림’을 의미한다. 두 가지 상반되는 태도를 ‘군자/소인’이라는 개체적 관점에서보다는 ‘이상사회’라는 공동체의 관점으로 옮겨 놓을 때, 우리는 맹자철학을 비판적으로 음미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孟子哲学是诞生于古代中国从春秋进入战国时期的统一中央集权国家转换。战国时代以四方境界政执要转成天下国家。孟子也是为了要求统一天下的诸王提高政治思想个读书人,跟当时思想家一样。他改修了政治,社会与经济,人性论的孔门儒学,构筑了新儒学体制。这本论文研究孟子哲学用三个论点。特别他结构哲学以同一性与排他差别这两论提。政治用天下中华的同一与华夷,四海的内外,中和边,人和物的差别。人性用圣人同质,性善,情的同一与性情欲的差。社会和经济依据高名人事同质,君子和野人,劳心和劳力,工巧的排他性。同一与差别成为社会位级构造剧于同感和接近。它为了统治与教化,跟中央集权国家形态一样。所以孟子哲学自从孔子的同而不和。它是个吸收与霸权原理。反是和而不同是个自能尊重与平等适合。这么态度比君子小人观点不如理想共同体的转变,我们可以发现孟子哲学的批评要素。

목차

논문 요약
Ⅰ. 여는 말
Ⅱ. 정치[治] 공간에서의 고찰
Ⅲ. 교화[敎] 터전인 마음[心]에서의 고찰
Ⅳ. 사회[分]-경제적[田] 측면에서의 고찰
Ⅴ. 맺는 말
참고문헌
中文提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희(金相姬). (2009).“동일성[同]”과 “배타적 차별성[不和]”의 문맥에서 본 맹자(孟子) 철학의 구조. 동양철학, 31 , 123-154

MLA

김상희(金相姬). "“동일성[同]”과 “배타적 차별성[不和]”의 문맥에서 본 맹자(孟子) 철학의 구조." 동양철학, 31.(2009): 123-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