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아 난치성 측두엽 간질

이용수 20

영문명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in Children : Presurgical Evaluation and Surgical Treatment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김종신(Jong Shin Kim) 김원섭(Won Seop Kim) 김현미(Hyun Mi Kim) 조강호(Kangho Jo) 김기중(Ki Jung Kim) 황용승(Young Seung Hwang)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5권 제1호, 44~51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10.2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배경 : 측두엽 간질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수술적 적응이 되며, 소아에서는 성인에 비해 수술적 적응이 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수술적 치료가 용이하다. 특히 측두엽 간질의 내과적 치료가 어렵고, 반복되는 발작이 뇌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조기에 절제술을 시행함으로서 뇌의 재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측두엽 간질에 있어 발작병소의 국소화 및 편측화에 사용되는 검사들의 유용성, 발작형태, 수술후의 경과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과에서 난치성 측두엽 간질로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거나 수술을 받을 예정인 1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작 기시부위는 발작형태, 발작간 및 발작시 뇌파, 뇌 자기공명영상, PET, 발작간 및 발작시 SPECT, 신경인지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정하였다. 결과: 1) 발작양상 : 의식의 변화 9례(69%), 멍한 상태로 몸의 움직임이 없었던 경우 8례(62%), 자동증 7례(54%), 전조 4례(31%) 순이었고, 5례(38%)에서 이차성 전범화 발작이 있었다. 2) 뇌파 : 발작간 뇌파상 8례(62%)에서 국소화 및 편측화에 도움이 되었고, 발작시 뇌파상 12례(92%)에서 국소화된 부위와 동측에서 간질파가 기시하였다. 3) 뇌 영상 소견 : 뇌 자기공명영상은 10례(77%)에서 국소화된 부위와 동측에 병변을 보였다. 발작간 SPECT를 시행한 6례중 1례(17%)에서만 동측 측두엽에 혈류가 감소되었고, 발작 중 SPECT를 시행한 12례 중 8례(67%)에서 국소화 및 편측화에 도움이 되었다. PET를 시행한 11례 중 8례(73%)에서 국소화 및 편측화에 도움이 되었다. 4) 신경인지기능 : 7례에서 시행하여 편측화 또는 국소화 결정에 도움이 된 경우는 86%(6/7)였다. 5) 수술 결과: 표준적 측두엽 절제술 및 해마편도 절제술을 시행한 9례의 수술 후 발작의 경과는 Engel 분류 Class I 6례(67%), Class II, III, IV 각각 1례(11%)씩이었다. 결론 : 난치성 측두엽 간질의 수술 전 검사 중 편측화에는 뇌파가 유용하였으며, 신경인지검사, 뇌자기공명영상, PET, 발작시 SPECT 등은 편측화 또는 국소화 결정에 가치가 있었으나 발작간 SPECT는 유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측두엽 절제술후의 발작의 경과는 양호하였으나, 소아간질의 치료에 대한 평가로 발달, 인지기능, 사회적응 등 다양한 면이 요구되므로 앞으로 더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Backgroud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ictal semiology, interictal and ictal electro-encephalography(EEG).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interictal and ict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d neuropsychometry for localization or lateralization of the ictal onset zone, and analyze the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Methods : We evaluated 13 children with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who are diagnosed at children’s hospit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January 1995 to August 1996. The ictal onset zone was determined by ictal semiology, electrophysiologic study,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imaging, and neuropsychometry. Results: 1) Ictal semiology: Sixty-nine% of the studied children had change of consciousness, 62% had automatism, 31% had aura, 23% had contralateral versive movement, and 23% had contralateral dystonic posturing. Secondarily generalized seizure occurred in 38% of them 2) Interictal EEG showe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in 8 cases(62%). In interictal EEG, 12 cases(92%) showed epileptiform discharges on the ipsilateral temporal lobe. 3)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ipsilateral temporal lobe lesion in 8 cases(62%), Interictal SPECT was performed in 6 cases, only one of them had decreased cerebral blood flow on the ipsilateral temporal lobe. Ictal SECT was done in all. 8 cases(67%) ha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PET was performed in 11 cases, 8 cases(73%) of them ha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4) Neuropsychometry was performed in 7 cases, 6 cases(86%) of them had localized or lateralized value. 5) Nine patients underwent epileptic surgery, 6 of them had class I outcome and each one of the rest had class II, class III and class IV. Conclusions: Electroencephalography, neuropsychometry, MRI, ictal SPECT, and PET are valuable for loc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f the ictal onset zone, but interictal SPECT is valuless. The outcome after surgery is relatively good, but more extensive study including patient’s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status will be necessa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신(Jong Shin Kim),김원섭(Won Seop Kim),김현미(Hyun Mi Kim),조강호(Kangho Jo),김기중(Ki Jung Kim),황용승(Young Seung Hwang). (1997).소아 난치성 측두엽 간질.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5 (1), 44-51

MLA

김종신(Jong Shin Kim),김원섭(Won Seop Kim),김현미(Hyun Mi Kim),조강호(Kangho Jo),김기중(Ki Jung Kim),황용승(Young Seung Hwang). "소아 난치성 측두엽 간질."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5.1(1997): 44-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