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문학영재와 시적 언어능력
이용수 275
- 영문명
- A linguistic-literature talent and a poetic language skill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장창영(Jang Chang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8輯, 309~3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study in a main characteristic of linguistic-literature talents include a poetic language skill, and I will apply to educational field with bases at these elements. Until now korean talent educational are confined at mathematical, scientific, English, and artistic etc. But language achieved a basis of ability and communication at our society, and we have to lean to a continuous interest about linguistic - literature talents.
A poetic language skill demonstration process of a linguistic-literature talent vocabulary selection ability, an aesthetic sense, originality, an imagination, a sensitivity, intuition, the creativity, defiance consciousness, aesthetic completion degree, and form construct ability etc. These elements making be able to show the potential ability that oneself maintained. As a result, gifted persons express outside ability of itselfs, and it can be displayed in external because of this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practically effective in ability enlightenment of talents and teaching-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f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nect this factors with a natural aptitude individual student.
In addition, this elements efficiently apply to general student, it may contribute to their language skill elevation and level raising in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o principal elements to compose their characteristic, and deep discussion and approach to linguistic-literature gifted persons.
목차
1. 영재 특성과 언어-문학영재
2.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 판별 요건
3. 시적 언어능력의 가치와 기대 효과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년대 시문학의 장(場)과 여성시의 한 방향
- 국어 호칭어 체계 수립을 위한 사적 고찰
- 김지하의 시와 탈식민성
- 대학 글쓰기 교재의 비교 분석
- 제의적 정체성과 디아스포라 문학
-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시론
- 『북향보』의 의미담론 연구
- 제주방언의 보조동사 ‘-불다’에 관한 형태론적 연구
- 「경희」의 페미니즘 수사 전략
-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시적 형상화
- 염상섭의 해방직후 소설에서 ‘민족’을 자각하는 방식과 계기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국어 사동문의 문법성과 사동성
- 재일조선인 문학비평의 민족문학적 의미
- 朴趾源 散文의 문체적 특성(2)
- 무조사 명사어구 구문의 통사 구조
- MMORPG의 안타고니스트 연구
- 언어-문학영재와 시적 언어능력
- ‘주체의 자기확인’을 위한 죽음 순례
-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미(語尾)에 대한 영어설명 고찰
- ‘공학인증제’와 글쓰기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