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반식민주의 저항으로서 일제말의 ‘만주 서사’ - 이태준의 〈농군〉과 한설야의 〈대륙〉을 중심으로

이용수 638

영문명
"Manchuria Narration" in the Late of Japanese Imperialism as Anti-colonial Resistance of East Asia - in the 〈Nonggun(농군)〉 by lee Taejun and 〈Daeruk(대륙)〉 by Han Seolya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고명철(Ko Myeong-Cheol)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49집,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apanese imperialism on Manchuria state intended to make Manchuria colony of Japanese empire standing colonialism argument such" as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seonmanilye(鮮滿一如), and naeseonilche(內鮮一體). In this process, Japanese imperialism reinforced colonialism control through discriminative treatment toward Chosun people living in Manchuria. A short story 〈Nonggun(농군)〉 by Lee Taejun and a novel 〈Daeruk(대륙)〉 by Han Seolya were problem novels staring at this reality of Manchuria and seeking for narrative possibility of anti-colonial resistance.
  A narrative strategy to pay attention to 〈Nonggun(농군)〉 should consider 〈Leeminburakgynmungi(이민부락견문기)〉 that was written earlier than 〈Nonggun(농군)〉. Like reassignment "Manbosan Event(만보산 사건)" in 〈Nonggun(농군)〉, <Nonggun(농군)〉 intended to read contradiction and break of colonial narration with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seonmanilye(鮮滿一如), and naeseonilche(內鮮一體) of Manchuria through anti-colonial resistant context in Jangjaweofu(쟝자워푸) of Manchuria state. That is to seek for new possibility of anti-colonial resistant narration that could implode colonialism.
  While Manchuria state destroyed a basic mind of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Han Seolya"s 〈Daeruk(대륙)〉 had an insight to colonial desire of a private citizen capitalist who devoted to colonial management of an empire in Manchuria state. As Han Seloya did not deny completely a frame of Manchuria state that had close relation to Japanese empire, he had a dream for an accompanied world, national harmony(民族協和), capital paradise that could not be caught by colonialism of Japanese empire through love transcending race and nationality. Like intending to narrative strategy of Lee Taejun, Han Seolya also tried to a new possibility of anti-colonial resistant narration by striking back naturally a sight of an empire.
  Manchuria could be a strategic position to Lee Taejun and Han Seolya to newly seek for anti-colonial resistant narration with a possibility to implode colonialism through narrative realization that was different from in Chosun.

목차

Ⅰ. 만주, 식민주의 담론들의 각축장
Ⅱ. 식민주의 담론들의 충돌과 반식민주의적 저항의 서사: 이태준의 〈농군〉
Ⅲ. 만주국의 식민 경영과 반식민주의적 저항의 서사: 한설야의 〈대륙〉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명철(Ko Myeong-Cheol). (2008).동아시아 반식민주의 저항으로서 일제말의 ‘만주 서사’ - 이태준의 〈농군〉과 한설야의 〈대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49 , 83-109

MLA

고명철(Ko Myeong-Cheol). "동아시아 반식민주의 저항으로서 일제말의 ‘만주 서사’ - 이태준의 〈농군〉과 한설야의 〈대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49.(2008):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