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션상품의 문화적 의미와 소비의례 연구 - 나이키 마니아 소비자의 면접을 통한 분석
이용수 2317
- 영문명
- Cultural Meaning and Ritual Behaviors in Symbolic Consumption Process of Fashion Products - Focused on Nike Mania Consumers -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이미아(Lee Mi Ah) 이은영(Rhee Eun Young) 김난도(Kim Ran Do)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1권 제2호, 149~1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징소비의 대표적인 대상인 패션상품을 중심으로 소비재가 함축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는 무엇이고 그 것의 소비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어떠한 의례 행동을 보이는지 그리고 문화적 의미의 생성과 의례적 소비행동에 있어서 광고와 유행체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나이키 마니아 중 10-20대 남성 소비자 18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좀 더 심층적인 질문을 위해 일부 피면접자에 한하여 개별적인 심층면접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패션상품에 나타난 문화적 의미는 총 6개 항목으로 개인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로 분류되었고,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문화적 의미의 소비과정에서 나타난 의례행동으로는 소유의례, 손질의례, 교환의례, 놀이의례 등 총 4가지 유형이 제시되었고, 이는 다시 대상물행동과 관계행동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각 소비의례 행동은 특정 문화적 의미와 보다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광고와 유행체계는 문화적 의미 중 공적인 의미에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러한 공적 의미를 지닌 상품에 대해서는 소유나 수집의례가 강하게 일어나고 있어 광고와 유행체계가 문화적 의미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대 소비사회의 마케팅 환경 하에서 소비자들은 하나의 패션상품을 물적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내재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 즉 기호와 상징으로서 소비하고 있었으며, 소비의례 행동을 통해 소비 대상물과 소비자의 의미를 연결하는데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소비재의 문화적 의미, 소비의례 그리고 광고와 유행체계가 상징소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대 소비사회의 마케팅 환경 하에서 소비자들은 하나의 패션상품을 물적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내재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 즉 기호와 상징으로서 소비하고 있었으며, 소비의례 행동을 통해 소비 대상물과 소비자의 의미를 연결하는데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소비재의 문화적 의미, 소비의례 그리고 광고와 유행체계가 상징소비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fashion product as an exemplary object of symbolic consumption, analyzed the cultural meaning embraced in consumer goods, and the role of ritual behaviors in the process of consuming the cultural meaning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advertising and fashion system on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meanings were investigated. Interviews with 18 male consumers who considered themselves as Nike mania were conducted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 order to ask more deeply, we advanced in-depth interview with some interviewees only by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six identified cultural meanings in fashion products (Nike products) could be classified into public meaning and private meaning. These were proved to be interconnected, not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Second, four types of ritual behaviors, such as possession rituals, grooming rituals, exchange rituals and play ritual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ocess of consumption and these rituals were classified into object action and interpersonal action. Third, advertising and fashion system affect mainly public meaning among cultural meaning, and possession or collection rituals is mainly involved with those products which have public meaning. In conclusion, consumers were consuming fashion products as a cultural meaning, that is, sign and symbol not just material object under marketing environment of modem consumer society. They also perform active role connecting consumption object and their own meaning through consumer ritual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at cultural meaning, consumer rituals, advertising, and fashion system were valid constructs understanding the consumption of consumer goods, more specifically fashion products, and constituted a symbolic consumption syste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제공업체 요인과 고객개인 요인이 체중관리 성과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가전제품에 대한 불만대응행동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문제행동 연구
- 미취학자녀를 둔 가구의 자녀보육비 지출실태와 영향요인
-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 광고회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 자영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구조적 특성이 경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쇼핑행동 유형 분석 - 여성과 남성은 차이가 있는가?
- 패션상품의 문화적 의미와 소비의례 연구 - 나이키 마니아 소비자의 면접을 통한 분석
- 「소비문화연구」 논문 심사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